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미래!

조지오웰의 1984년에서는 감시와 통제가 주를 이루는 미래상이 나온다. 이제껏 우리사회는 군부독재와 뒤늦은 민주화를 통해 감시사회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사회가 바뀌어 그런 직접적이고 폭력적인 감시는 이루어 지지 않는다. 하지만 소셜미디어와 여러 새 매체를 통해 사람들은 웹을 통해 서로를 감시하기 시작했다. 또한 네티즌 하나하나도 그 감시를 인식하고 가식적인 행동을 하게되고 다른 사람들은 익명성을 통해 오히려 폭로하고 비방하는 등 여러 형태의 대화가 이루어 지고 있다. 조지오웰이 생각한 텔레스크린이 현대에는 인터넷과 여러 첨단 장비들이 그것을 대신한다. 하지만 감시에 걸린다해도 목숨은 잃는 사회가 오진 않겠죠?

두번째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는 쾌락에 눈먼 사람들과 정작 소중한 가족이나 그런 여러 개념들이 아예 묵살되고 무감각한 사회가 보여진다. 지금 사회에도 인간복제나 그러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던 적이있다. 지금은 좀 덜하지만 하지만 그것들이 이루어지기전에 사람들은 온라인이나 여러 매체를 통해 그에대한 논의를 할 것이고 그로 ㅇ린해 발생하는 집단 지성을 통해 어떤것이 현명한 선택일지는 모르지만 무튼 결정될 것이며 그것이 아마도 그시대에는 보다 더 정확하고 지혜로운 사고가 될 것이다. 멋진 신세계처럼 계층이 나눠지고 구분된다면 그건아마도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양에 따라 결정될 것 같기도 하다.

댓글 7개:

  1. 범석아, 개인간의 관계에 대해 '감시'라는 용어는 그다지 적절해 보이지 않는구나. 수고했다.

    답글삭제
  2. 인터넷의 문제가 익명성이라는 말은 점점 구시대적발상이 되어가는 것 같아. 어떻게 생각하니?

    답글삭제
  3. 두번째 문단 오면서 시간에 쫒기는 범석이의 모습이 보인다.. ㅋㅋ

    답글삭제
  4. 감시에 걸려서 목숨을 잃기 보다는, 감시받고 있다고 느끼는 강박감에 시달려 목숨을 잃는 사태는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서운 한국의 네티즌의 위력으로 자살한 몇몇 연예인 사건을 예로 들 수 있겠지요?

    답글삭제
  5. 즉석에서 시간을 재가며 쓰니까 제가 몬말했는지도 감이안와요 ㅠㅠ 그래도 요즘은 익명성이 정말 무색해진다는것은 은란누나의말이 맞습니다. 점점 실명제가 늘어나고 익명성인 id마저도 네티즌 수사대에 의해 서서히 그 힘을 잃어가고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악플러들이나 비관글에 두려움을받고 고통받는 예는 상당히 많죠 잔듸학우분의 의견또한 동의합니다

    답글삭제
  6. 교수님 생각과 달리, 전 범석이가 잘 지적한 것 같아요.

    답글삭제
  7. 이범석님은 정말 참신한 생각을 잘 하시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과는 많이 다르지만 거부감이 없는 글 이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