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8일 월요일

무제

만약 내가 <1984년>을 <2084년>으로 개작한다면 계층사회에 대한 내용이 있는 부분을 추가로 덧붙이고 싶다. 1984년 산업사회와는 다르게 현대 사회는 정보사회이고 2084년이 되면 발전된 정보사회가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가지 고급정보들이 많이 생길 것이다. 그래서 상류층 사람들은 남들보다 더 좋은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방법을 이용함으로서 정보를 얻을 것이고, 하류층 사람들은 정보를 얻을만한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만큼 좋은 정보를 얻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정보의 수집방법으로 인해서 계층들 간 정보격차도 커질 것이고 여기에서 사람들의 경제적 능력이 나타나기 때문에 여기에서 또한 계층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래서 만약 소설을 개작한다면 이 부분을 추가로 넣고 싶다. <오세현>

댓글 6개:

  1. 정보격차에 대해서 좀더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합니다...

    답글삭제
  2. 사회계층에서 하류층들은 계급 상승을 생각지도 못하고

    살아가는게 1984속의 하층민 들이었습니다.

    2084에서도 하층민들은 그삶을 만족만 하며 상류층과는

    상관없는 삶을 살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3. 계급구조가 확실히 드러났으면 좋겠군요..

    답글삭제
  4. 1984년과 지금에 달라진 점을 잘 집어낸 것 같은데, 조금 더 구체적이었다면 더 멋진 글이 되었을것 같아요^__^

    답글삭제
  5. 정보격차에 따른 계층은 우리도 알게모르게

    현재도 존재하겠죠? 좋은 의견 같습니다

    답글삭제
  6. 세현아, 매우 사회학적인 생각을 해주어 고맙다. 그런데 <1984년>의 오세아니아도 철저한 계층사회이고 지식격차가 존재한다. 그런데 정보불평등이 그 때도 여전히 존재할까? 존재한다면 어느 정도나 심각할까? 만약 누구나 생체칩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세상이 온다면 정보불평등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할까? 돈을 못내면 네트워크와 동기화(synchronization)가 안되는 것인가? 무언가 재미 있느 스토리가 나올 것도 같은데....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