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이란

내가 생각하는 집단지성이란?



쉽게 말해서, 각자 개인들이 1만큼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치면,

열사람이 모여서 만들어 내게 되는 결과는 10이 된다.

하지만 집단지성에 의해 개인들이 1만큼 가지고 있었다면

열사람이 모여서 이루어낸 성과는 10보다 훨씬 더 값진 것을 이룩해낼 수 있는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터넷이라고 일컬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있기 이전에는,

가치 있는 결과를 이룩해내기가 환경적인 면에서나, 비용적인 면에서 더 어려웠다.



하지만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등장하고,

여러가지 사이트에서 그러한 집단지성을 최대한 잘 이룩해낼 수 있도록 하는 요건들도 충분히 갖춰지고 있는 현재에는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성과를 이뤄내고 있고 또 앞으로 그럴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물론 집단지성의 놀라운 힘에 대해 무지하거나, 불신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믿기 힘들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한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는 사람들까지도

결론적으로 집단지성을 이룩하는 데에 긍정적인 기여가능를 한다는 점이

집단지성이 가진 최대의 장점임에 틀림 없다.



앞으로 정보사회학과 학생으로서,

그리고 세계화시대의 한 구성원으로서

항상 마음 속에 깊이 새겨두어야 하고

단 한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면

유일하게 집단지성이라는 가치가 아닐까.

댓글 8개:

  1. 구체적인 사례를 몇 개 들어주었으면 좀 더 설득력이 있었겠구나. 수고했다.

    답글삭제
  2. "지성"이라는 개념을 값진 것을 이룩해낼 수 있는것이라고 구체화/일반화를 시켰다는 점에서 아름다운 글.

    답글삭제
  3.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는 사람들까지도 결론적으로 집단지성을 이룩하는 데에 긍정적인 기여가능를 한다는점에서 집단지성의 중요성을 또한번 인식합니다.

    답글삭제
  4.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5. 집단지성의 믿바탕에는 인터넷기술의 발달이 있다고 생각하는 점이 저랑 비슷하네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6. 10분이라는 시간에 이만큼의 글을 쓸 수가 있나요??
    집단지성에서 1+1이 2가아니라는 의견 제 글과 비슷합니다.
    잘 읽었어요~

    답글삭제
  7. 잘읽었습니다. 인터넷이란 매체에서 집단지성의 발달이 된다고 하는 점에서 동의합니다.

    답글삭제
  8. 부드럽게 넘어가는 글, 잘 읽었습니당!^^^^^

    준호 말처럼 저도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는 사람들까지도 결론적으로 집단지성을 이룩하는 데에 긍정적인 기여가능를 한다" 부분에서 머리에 스파크가 일어났네요!^^^ 좋은 지적입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