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이란

집단지성이란 여러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능력을 활용하여 집단적으로 이루어내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강요와 억압 하에서는 제 능력을 모두 발휘하기 힘들다. 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순수히 자신이 원해서 하는 일에 관해서는 놀라운 활동을 하곤 한다.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로 인한 집단지성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방대하다.
집단지성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위키피디아의 경우를 예로 들면, 일반 백과사전보다 더 실용적이며 정보가 매우 방대하다. (예를 들면, 바비의 경우 일반백과사전에서는 한 범죄자에 대한 내용이 나오지만 위키피디아에서는 인형 바비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누구나 위키피디아의 생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대체적으로 참여자들의 위치는 동등하다.
집단지성이 나타나는 경우를 살펴보면, 참여자들은 댓가를 바라지 않는다. 금전적 수익을 기대하기 보다는 모든 사람들이 더 다양한 혜택과 편리함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그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와 그리고 일 자체에 대한 열정을 즐긴다.

댓글 5개:

  1. 좋은 지적이다. 간과하기 쉬운 측면을 잘 지적했다.

    답글삭제
  2. 정말 집단지성의 키 포인트를 집으신거 같네요 옛말에 '천재는 노력하는자를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 라는 말도 있듯이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에서 집단지성의 최대의 장점이 발휘되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
  3. 흠... 강요와 억압에 관심을 가졌군요. 보니까 자발적 참여의 폭발적인 능력을 설명하는 글이었네요. 글의 소재를 잘 선정하신 것 같습니다.

    글 한수 배우고 가네요.

    답글삭제
  4. 여러가지 예시를 통하여 보면 금전적인 목적보다는, 그 자체를 즐기는 사람들로 부터 얻을 것이 더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잘 읽었어요~

    답글삭제
  5. 프로 엠(Pro-Am) 개념이 생각나네요!
    풀어서 잘 설명하신 것 같아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