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pedia는 '공유지식 기반의 동료생산(Commons-based Peer Production)'을 대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우리가 위키피디아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공유지식기반의 동료생산 뿐 아니라 21세기 '사회적 생산'을 이해하는데 크게 유용할 것입니다.
미국 하버드 법과대학원의 Yochai Benkler 교수는 위키피디아가 3가지 핵심적 특징을 결합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첫째, Wiki라는 협동저작도구를 사용한다.
둘째, 하나의 백과사전을 창조하겠다는 의식적인 노력이다.
셋째, 협동에 의해 생산된 모든 컨텐츠는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아래 배포된다.
2006년 위키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How and Why Wikipedia Works"라는 글에서 Dirk Riehle는 Angela Beesley(English Wikipedia), Elisabeth baur(German Wikipedia), Kizu Naok(Japanese Wikipedia)와의 인터뷰를 통해 위키피디아가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알기 쉽게 보여준다. 다음은 그 중 일부를 발췌한 내용이다.
1. 위키피디아의 목적와 목표
-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의 언어로 자유롭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백과사전을 제공
- 세계인들에게 지적인 힘을 가져다주기 위함
- 세 사람 모두 그러한 취지에 공감하였고, 사람들을 돕기 위해 위키피디아에 열심히 참여하였다고 함
2. 위키피디아에 있는 직책들
- readers, authors(혹은 editors: 'normal' authors, 'high-end' authors), administrators, recent changes patrollers, policy makers, subject area experts, content maintainers, software developers, system operators, proofreaders, reviewers, stylists, translators, contact people, 수없이 많은 비공식 그룹들,
- 관리자는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데, 통상 3천회 이상의 편집 경험, 3개월 이상 활동, 편집하면서 싸움에 말려든 경험이 없어야 하는 것과 같은 요건이 필요하다.
3. 업무처리 절차
- 삭제 요청과 같은 경우 보통 5일 혹은 일주일 동안 토론, 흔히 투표를 통해 결정.
- 새로운 작성 기준과 같은 정책 결정도 토론 후 합의 혹은 투표를 통해서 이루어 진다.
- 갈등 해소 방법: 가장 흔히 발생하는 갈등은 사용자들이 권리를 남용하거나 특정 관점을 밀어부치는 경우이다. 내용에 관한 이견 때문에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관련자들의 토론을 통해 갈등이 해결되는데, 때로는 관리자나 위원회의 조정을 통해 해결되기도 한다.
4. 품질 확보 문제
- 위키피디아 내용의 품질은 가장 비판을 많이 받는 문제이다.
- 품질이 낮은 기고문을 삭제하는 방법
- 저명한 기고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주어 훌륭한 기고문을 확보하는 방법('excellent articles'로 선정, the WikiPress Books에 출판 기회 제공)
- 많은 저자들이 참여한다고 수준 높은 글이 작성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훌륭한 글들은 한 명이나 소수의 전문가가 작성한 것들이다. 이점에서 고전적인 백과사전과 다르지 않다. 이 점은 '집단 지성' 주장에 반하는 증거로 간주할 수 있다.
- 위키피디아를 상업적 목적, 개인적 이익, 정치적 목적 등으로 이용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봇(bot)에 의한 관찰, 그리고 사용자들이 관찰과 신고에 의해 해결
* 위키피디아에 올라온 글에 대한 신뢰성과 품질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 Benkler교수가 인용한 J. Giles의 논문 "Special Report: Internet Encyclopedias Go Head to Head"(Nature, December 14, 2005)에 의하면 Encyclopedia Britannica와 정확성에서 거의 차이가 없다. 그는 42개의 과학 항목을 비교하였다. 반면에 Lucy Holman Rector가 9가지 역사학 항목들을 가지고 Encyclopedia Britannica, The Dictionary of American History, American National Biography Online과 비교한 결과에 위키피디아의 신뢰성이 떨어진다(Reference Services Review, Vol. 36, No.1, 2008. pp. 7-22).
* G. E. Gorman("Editorial: Is the wiki concept really so wonderful?", Online Information Review, Vol. 29, issue 3, 2005. pp.225-226)은 위키 참여자로서의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위키의 내부 운영이 긍정적이지 않다고 지적한다. 사용자들에게 위키피디아를 조심스럽게 사용할 것을 권유한다.
앞으로 위키피디아를 적극적으로 사용해보려고 했는데 글을읽고 저도 특별한 직책을 얻고싶다는 생각까지해봤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