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24일 수요일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저자 직강 녹화 자료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We-Think)의 저자인 Carles Leadbeater가 TEDTalks에서 행한 강의입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집단지성을 알기 쉽게 풀어줍니다. 한글 자막이 제공됩니다.
Charles Leadbeater on innovation | Video on TED.com

댓글 4개:

  1. 잠을자기전에무심코블로그에들어왔다업데이트된영상을보고나니굉장히횡재한기분입니다.생각도정리하고위강의내용을핵심적으로요약도해볼겸글을적어봅니다.물론이강의를보시고읽으시는게훨씬효과적이겠지만적어도집단지성기본개념을알고계시는여러분이니걱정없이읽으실수있을거라생각합니다.왜사용자가점점더중요한가가?이것이이강의에서는주제이자핵심내용입니다첫째로사용자혹은소비자는생산자를앞선다란것입니다이것은생산자,발명자들이더이상생산또는발명한제품이나기술들이어떠한용도나쓰임이될지설명할수없다는것입니다비록이것을만들어낸주체일지라도말이죠이것을할수있는것은사용자,소비자들간의상호작용을통해개선되고발명된다는논리입니다.이런작용에따라기존의전문가에서소비자로가는흐름은소비자에서전문가로가는역흐름이존재하게될것입니다.두번째로사용자,소비자는혁신적발명의주체라할수있는것입니다왜그러한가는혁신적인발명이나아이디어가대기업구조에서는나올수없는불가능한구조를가지고있기때문이라할수있는데실제로대기업에서는성공가능성과과거의데이터등기존의관례나관습에얽매어있기때문입니다실예로미국에서유행하게된랩이예로적용되고있고이제는그뒤를이을예들이쏟아질것입니다세번째로프로아마추어가혁신을선두한다는점입니다.여기에서프로아마추어란집단지설책에도등장한프로앰Pro Am(전문가수준의식견과기술을지닌열정적아마추어집단)이라할수있습니다.예로천문학을들며설명을하고있는부분에서알수있듯현재발달된천문학기술과더불어소프트웨어인오픈소스(open source software-사람들이자유롭게text주석을달수있는프로그램)가등장함에따라이들은과거에는유일한사람만이관찰하고기록하던우주를모두가공유할수있게하는역할을해낸것입니다.
    여기서이제우리가생각할점은이런사용자,소비자의중요성을인식하고있는것만으로이혁신이계속지속될수있을까?란점입니다.사용자,소비자로구분되는이자원자들을위해국가적으로정책적으로또한이들의영향을받는대기업들은어떤역할을해야하는가하는점입니다.마지막으로예로들었던중국인터넷사업주의예는우리에게깨달음을요구하는부분이라생각이드는부분으로그가단지게임을가입한게이머들을단순한게이머로만취급하고그들의가치를창출하는플랫폼을만들지않았다면그들의가치는0에불과하겠지만그들이모일수있는플랫폼이만들어짐에따라그들의가치는무에서유를창조하

    답글삭제
  2. 는것과같은엄청난시너지효과를냈다할수있습니다.이러한사용자,소비자들의상호작용을통한영향력은앞으로우리가얼마나현실에서적용하느냐에따라우리는더큰효과를볼수있을거란기대를해봅니다. 쓰다보니내용이굉장히길어졌는데급하게쓰다보니부족한내용과수정부분이많겠지만의견남겨주시면수정이나추가하겠습니다.이상읽어주셔서감사합니다.

    답글삭제
  3. 송준호님의 말을 듣고 블로그에 찾아왔습니다. 시대가 지날수록 사용자가 중요해지는 이유를 이제야 알것같네요^^
    좋은 자료 잘 봤습니다!

    답글삭제
  4. 송준호 학생의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집단지성이 무엇인가?" 라는 책을 읽은 상황에서 강의를 들으니까 어느 정도 감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책의 1,2장에서 강조하는 내용으 개략이 협업의 중요성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SNS라 불리는 시스템도 큰 범주의 협업, 동업을 바탕으로 하는 것 같고요. 하지만 개인이 오히려 집단보다 더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은 없는지 의심이 듭니다. 그러한 영역이 있다면 집단지성의 이름아래 그냥 묻혀가고 있는지 하는 염려도 되고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