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12일 월요일

4월 13일 강의노트


집단지성의 구성

 

Thomas W. Malone, Robert Laubacher and Chrysanthos Dellarocas. 2010. "The Collective Intelligence Genom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Spring, vol.51, no.3. Pp.21-3



1. 네 가지 질문으로 시작




   - 무엇을 수행하나? (What is being done?)
   - 누가 수행하나? (Who is doing it?)
   -  그들이 그것을 수행하는가? (Why are they doing it?)
   - 그것이 어떻게 수행되는가? (How is it being done?)


2. 무엇? 사명, 목표, 임무에 관한 문제 
  - 창조한다(Create)
  - 결정한다(Decide)


3. 누가? 조직에 관한 문제
  -  위계 조직(Hiearchy)
  -  군중(Crowd)

4. 왜? 인센티브에 관한 문제
   - 돈(Money)
   - 애정(Love): 특정한 일 자체에 대한 열정
   - 영광(Glory)(혹은 인정, recognition): 동료들의 인정
  5. 어떻게?
 1) 위계조직(hierarchy)에 의존

 2) 군중(crowds)을 이용

    - 창조 임무(Create tasks)의 경우
       - 수집(Collection): 군중의 개개인들이 독립적으로 창조: Flickr, YouTube
          - 공모(Contest): 단지 하나 혹은 소수의 좋은 해법만 필요시
       - 협업(Collaboration): 군중이 서로 상호의존적으로 협력하여 창조: Linux, Wikipedia 기사
    - 결정 임무(Decide tasks)의 경우
        - 집단 결정(Group Decision)
           - 투표(Voting)
           - 합의(Consensus)
           - 평균화(Averaging): 예: 소의 무게에 대한 추측, 영화나 책에 대한 평가나 추천
           - 예측 시장(Prediction markets): Iowa Electronic Markets (여론조사와 같은 역할)
        - 개별적 결정(Individual Decision)
           - 시장(Markets): 옥션
           -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s):twitte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