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1984 vs 멋진 신세계

먼저 1984년과 멋진 신세계의 공통점은 인간으로써의 기본적인 권리인 '자유'가 억압되어 있다. 1984년의 경우 당의 감시와 사람들 사이의 감시로 인해 그들은 자유롭지 못하고 멋진 신세계는 보다나아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정해진 틀에 맞게 살아가고 심지어 자신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도 인식하지 못한다. 두 소설의 차이점을 보자면 사랑의 관점이다. 1984년에서의 사랑과 섹스는 단순히 당의 일원을 만드는 용도로 쓰이지만, 멋진 신세계의 경우에는 그것조차도 역겹고 추잡하여 인공 수정으로 사람을 만들어 낸다. 또한 성적으로 문란하게 그지없다.
1984년과 멋진 신세계는 둘다 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잇어 지금 현실에 살아가는 나와는 걸맞지 않지만 우리의 미래는 1984년보다는 멋진 신세계와 가까울 것이라 생각한다. 지극히 청결하고 소마와 같은 일종의 환각제에 쩌들어 사는 그런 미래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간을 마치 대량생산하는 그런 미래는 보고싶지 않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람이 아닌 그저 공장에서 찍어낸 기계와 같아서 사람답지 못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댓글 9개:

  1. 공장에서 찍어낸 기계와 같은 인간들이 어쩌면 우리들의

    모습이 아닐까도 생각이 됩니다.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주입식 교육을 받으면서,,,

    답글삭제
  2. 우리 인간이 기계화되는 사회가 오지 않도록
    함께 노력해보아요....ㅋ_ㅋ..

    답글삭제
  3. 지금도 우리사회는 멋진신세계에서 나온 소마같은 것이
    마약이라는 물질로 불리되어 음지에서는 그상황이 심각한수준까지 이른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외국은 더심각한 수준인것으로 조사된 결과도 있고 어떤 대마초같은 경우 우리나라는 마약류로 불리되어 형이 주어지지만 외국에서는 합법적으로 받아들이는 나라들도 몇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들도 곳 소마같은 물질을 발견한다면 사회적으로 합법화할수밖에없는 제2의소마가 나오지 않을까란 생각이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4. 에서 마치 자유와 사랑을 허용하는 듯 보이지만 그것은 표면적으로만 그러할 뿐 본질적인 자유, 사랑은 이미 없는 것과 마찬가지였지요.
    잘 읽었습니다. ^^

    답글삭제
  5. 송준호/합법화할 수 밖에 없는 제2의 소마라는 말을 들으니 생각난건데요.
    에서 촉각영화도 나오잖아요. 저는 그걸 보고서 3D영화, 4D영화가 생각났거든요.
    촉각영화는 이미 현대 사회에서 기술적인 가능성이 많이 열려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덧붙입니다. ^^

    답글삭제
  6. 저의 생각을 쉬운말로 풀어쓴 것 같습니다. "사람답지 못하다"이게 딱 그말이죠.


    이걸로 보아서 저는 앞으로 용어사용에 신중을 귀할 것이며, 자기생각을 드러내는 데에 신중을 귀할 것입니다.

    이러한 두 측면에서 볼때 이 글은 장단점이 각각 존재하며 이렇게 발견된 장점과 단점은 앞으로 글을 쓸 때 많은 참고가 됩니다.

    답글삭제
  7. "완벽 공정 인간 팝니다. 불량품은 환불 또는 교환해드립니다." 라고 나중에 나오지나 않을지 모르겠네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8. 범석아, 1984년에는 사랑이 존재하는 것 같지 않구나. 내가 기억하기로 그 세계에서는 인공수정을 통해 아이를 생산하거나 부부관계를 하더라도 사랑의 행위가 아니라 번식 행위에 지나지 않는 것 같다.멋진 신세계에는 성적 충동과 쾌락으로서의 남여관계는 존재하지만 사랑으로서의 남여관계는 없는 듯 싶구나. 사랑은 성적 충동과 쾌락을 포함하지만 그 이상이지 않겠니? 기다림, 이해, 인내 등도 포함되어야 있어야 사랑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사랑이 없는 세상은 참혹할 것 같구나.

    답글삭제
  9. 사랑에는 설레임과 기다림,이해등 여러 요소가 있지만 결국 두 작품모두 사랑이라고는 할 수 없는 그거 육체적 관계와 생산적 행위에 지나지 않았기에 사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데 동감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