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4일 일요일

인간의 존엄성 VS 쾌락!!! and 성과주의...

[1984년]과 [멋진 신세계]두 작품 모두 사회체제와 과학기술에 의해 인간이 지배되는 모습을 그린다. 두 작품 모두에서 인간은 기계처럼 행동하도록 만들어져 있고, 그 것의 목적은 사회의 안정이며, 인간을 위해서 존재한다는 사회체제가, "인간"의 가치보다 더 높게 매겨진다.
차이점이라면 [멋진신세계]에서는 과학기술이 더 많이 발달하였고, 인간의 "쾌락"이 보장된다는 점이다. 그 것은 얼핏보면 [1984년]보다 더 나은 세상이라고 볼 수 있지만, "쾌락"이외의 다른 가치를 보면 이 것은 [1984년]보다 더 나쁜 세상일 수 있다. 일단 멋진신세계에서는 태아의 수를 수십배로 불리고, 사회적 역할을 강제로 정함으로써 인간을 "기계화"시킨다. 또한 쾌락이라는 요소를 강제로 주입시킴으로써 인권의식을 없애버린다. 그렇지만 과연 인권이 쾌락보다 더 중요할까? 오로지 결과만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아니다"라고 대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인간의 존재의미를 생각하는사람이라면 "당연하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댓글 14개:

  1. 너무 많은 생각을 담으려고 하다보니까, 내용을 부실하게 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일단 이 글을 통해서 사람들이 인권의 가치를 생각해 보길 바라는 마음이 듭니다.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사형제"에 대해서 찬성여론이 대다수인 걸 보아서 "인권"에 대한 의식이 너무 부재한 것 같고, 이미 병든사회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뿐만 아니라, 군대나 학교를 비롯한 많은 공간에서 인권의 가치가 소홀해 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이 글에서 끝 부분에 "인간의 존재의미"를 다루고 싶어했지만, 분량때문에 함부로 쓸 수 없었습니다.

    대강다루자면, 단순히 성과나 쾌락보다는 개개인이 인간으로 존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언급하는 것이죠.

    [멋진 신세계]에서는 인간의 쾌락이 보장되지만, 이미 인간은 오로지 숫자놀음과 화학적 공정으로 만들어진 "기계"에 불과하며, 이렇게 태어난 과정하고, 태어난 의미하나 자체부터 "기계"와도 같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살아가는 것도 이미 계급을 정해서, 오로지 정해진 일만 하게 만드는 완전한 기계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따라서 함부로 부숴도 할말없는 존재가 되어버렸고, 개개인의 의지조차 존재하지 않는 것이죠. 개개인의 의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곧 그 것 자체가 주체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로써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에 본인이 주체로써의 삶을 살아가다가, 어떤 전파신호에 의해서 객체로써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는 그 것은 이미 죽은사람이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우리는 늘 주체로써 살아있는데, 때로는 주체로써의 삶이 힘들다고 [멋진신세계]의 삶처럼 쾌락만 있는 객체로써의 삶을 선택한다면, 그것은 이미 "자살"을 선택한 결과라고 볼 수 있지 않나요?

    답글삭제
  2. 14줄을 10줄로 만들기 위해서 여러차례 수정을 거쳤습니다.

    답글삭제
  3. 정말 맞는 말씀이에요. 저는 처음에 차라리 아무것도 모르고 행복하기만 하다면 오히려 좋지 않을까라는 바보같은 생각도 했었거든요. 맞아요. 주체적으로 사는 삶이 진정 인간다운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
  4. 걱정이나 고독없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사는 삶.
    그것은 좋을 수 있지만 그렇게 만족하는 이유가 행동조절을 받고 주사를 맞는 것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진정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건 아무 말 없이 주어진 일만 하는 기계와 다를 바 없죠. 잘 읽었습니다. ^^

    답글삭제
  5. 인간의 존재가치를 판단 하는 것이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지

    만, 인권과 쾌락 둘다 "행복"이라는것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6. [1984년]보다 더 나은 세상이라고 볼 수 있지만, "쾌락"이외의 다른 가치를 보면 이 것은 [1984년]보다 더 나쁜 세상일 수 있다<- 이 부분 저도 동의합니다. 오히려 멋진신세계에 묘사된 사회가 더 나쁜 것일지 모른다고, 이유는 모르겠지만 막연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글삭제
  7. 1984보다 더 무서운 멋진신세계란 점 저도 동의합니다.
    물론 두사회다 각각 치밀한 체제이지만 어찌보면 인간의 본성을 조작하는 멋진신세계가 한차원더 높은 공포사회라 말할 수 있단 생각이드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8. ㅋㅋ 격려의 말씀 고맙습니다.

    답글삭제
  9. 태어나기 전부터 정해지는 사회적 위치와 계급. 그리고 그 계급에 알맞게 설정된 몸과 정신. 역시 쾌락만으로 덮을 수 없는 문제들이죠. 결과보단 역시 존재의미를 추구해야겠군요.ㅋ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10. 나와 같은 사람의 수가 많으면 얼마나 징그러울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존엄성.. 중요하죠ㅎ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11. "행복이란 아주 귀찮은 주인이야(무스타파 몬드, 283쪽)." 특히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할 경우 행복은 더욱 까다로운 주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는구나. 행복에서 쾌락은 빠질 수 없는 요소임에 분명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은 쾌락만으로 행복을 이룰 수 없다는 것도 분명하리라. 쾌락의 추구를 어느 정도 절제해야만 과학, 예술, 개성, 가족, 사회정의 등 다른 가치들도 추구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헉슬리의 예상처럼 현대사회는 쾌락을 지상의 가치로 추구하면서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한 다른 가치들은 잃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답글삭제
  12. Young-Min Yun / 다른 가치에 대해서 잘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좀 제 글의 주제랑 조금 거리가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드는 것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답글삭제
  13. 쾌락을 주입함으로서 인권의식을 없애버린다고 했는데..
    인권의식면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싶은데요.인권의식이 자유를 억압받는 사회를 말하는 것인지, 태아를 수십배로 늘려 강제적으로 노동을 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작품내에서는 강제적으로 노동을 시키진 않고 태아때부터 주입된 교육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인데 그럼 쾌락이 아닌 태아때 받은 교육이 인권의식을 없앤게 아닐까요.?

    답글삭제
  14. 둘다 말하는 것입니다.

    태아에게 강제로 교육을 시킨다 할지라도, 인간은 살아있기 때문에 가만히 놔두면 조금이라도 인권의식을 갖기 마련입니다.

    다시 말해서 자유롭게 살기를 원한다는 말이죠.
    그렇지만 자유롭지 않고, 오로지 기계적인 인생을 살고도, 쾌락이라는 것이 있으면 인간은 스스로 자유를 선택하지 않고 기계적인 인생을 선택하게 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