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하나도 안 멋진 '멋진 신세계'

<1984년>과 <멋진 신세계> 모두 '인간은 인간의 본성 파괴에 대항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면서 어두운 미래의 단면을 통해 현대 사회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반유토피아적인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사회의 '안정'을 위해 국가가 어떤 형태를 취하고 있으냐에는 차이가 있다. <1984년>을 과학문명의 발전을 테러와 감시에 이용한 증오 기반의 사회라고 한다면 <멋진 신세계>는 행복(만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현대사회는 <멋진 신세계>와 더 닮아있는 것 같다. 오늘날 우리는 과학 문명의 혜택을 얼마나 많이 누리고 있는가. 두 소설에서는 아예 순응하거나 혹은 아예 포기해야만 살아갈 수 있었다. '윈스턴'이나 '존'과 같이 양극 어디에도 소속될 수 없는 어중간한 최후는 아주 비극이다. 따라서 우리는 조지 오웰과 올더스 헉슬리의 경고를 받아들이고, 어떻게 하면 '인간이 인간 자체로서의 의미'를 잃지 않을 지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댓글 13개:

  1. 정말 저런 미래가 왔을때, 소속되지 못한다면 비극일것 같아요. 인간 자체로의 의미를 잃지 않을지를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한다는 말에 동의합니다. ^^ 잘읽었습니다 ^^

    답글삭제
  2. 순응 아니면 포기, 정말 극단적인 사회입니다. 우리 사회에서도 변화를 가져올 기회를 주는 어중간한 세력이 사라지게 되지는 않을지 걱정이 되네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3. 어중간하고 애매하다는 것은 불안정하고 불확실하고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잖아요.
    그래서 그런 여지를 통제하는 것은 획일적인 사회가 되는 것 같네요. ㅜ_ㅜ

    답글삭제
  4. 양쪽 어디에도 속하지 못했던 '존'과 '스미스'는

    결국 그들이 원하는 쪽으로 갈 수 없음을 알고 굴복하고

    말았던 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5. 제 생각에 멋진신세계에서 어중간한 인물은 존이 아니라 버나드라는 생각이 들어요.. 제 개인적으로 존이 선택한 자살이라는 것은 굴복이라고 보기에는? 조금 아쉬운면이 있는 것 같아요.

    답글삭제
  6. 존,스미스는 작가가 만들어낸 공상인물이지만
    실제로 그들은 작가가 그리는 미래사회의 주인공인 우리라 생각이듭니다. 그런점에서 정말 미래사회가 소설처럼 불행한 두 주인공을 만들도록 변하게 두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입니다.

    답글삭제
  7. 서주희/물론 버나드도 어느 정도 그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버나드 말고 헬름홀츠도 그렇죠.
    그렇지만 그들은 일단 행동조절을 비롯해서 병 속에서 태어난 사람들이기 때문에 사회로부터 완전히 튕겨져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섬으로 가기는 하지만 사회로부터 아예 격리되지는 않았다는 판단이 들었거든요. ^^
    반면에 존은 굴복했다기보다 완전히 저항을 해서 사회로부터 튕겨져 나왔지요.
    버나드나 헬름홀츠는 적어도 그 사회에 적응한 상태에서의 중간적인 요소를 가진 사람이라면 '존'은 아예 다른 곳에 있다가 어느 날 그 사회로 뚝 떨어진 거란 말이예요.
    그런 의미로 어중간하다는 표현을 쓴 것입니다. 참고해주세요.
    좋은 코멘트 감사합니다. ^^

    답글삭제
  8. 정말이지 오늘 날과 많이 닮았습니다. 이 저서들이 과연 1930년대에 쓰여진 것인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말이죠. 그리고 이렇게 예상된 미래가 점점 현실이 되어 간다는게 너무 무섭네요.

    답글삭제
  9. 인간이 인간 자체로서의 의미 라는 구절이 저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10. 마치 조지 오웰과 올더스 헉슬리가 지금 시대를 살았던 것 같았던 느낌이 저도 드네요. 잙읽었습니다~

    답글삭제
  11. 두 위대한 작가가 은란이와 위 대화에 참여한 여러 학생들에게 자신의 삶을 돌아볼 기회를 준 것 같아 무척 기쁘구나. 특히 정보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일수록 그것이 개인적 삶과 사회에 대해 지닌 의미를 생각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에서 선정한 도서들이란다. 은란이 네가 복학해서 열심히 살아기는 모습을 보니 무척 기쁘다. 가다보면 어려움도 있겠지만 즐거운 마음으로 이겨낼 수 있기를 바란다. 넉넉한 인간미를 잃지 않고 살아가기가 점점 쉽지 않은 세상이다.

    답글삭제
  12. 인간이 인간자체로서 의미(본성)를 잃지 말야야 한다는 생각에 동감하구요. 과학문명의 혜택속에서 순응해야할 지 저항해야할지 .. 저항한다면 어떻게 저항해야할지.. 아 딴곳으로 샛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13. 교수님/'1984년'과 '멋진 신세계'는 평생 제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내용도 상당히 흥미로웠고 이 두 소설이 생각하게 하는 부분들도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또 수업 시간에 열심히 다뤘기 때문입니다. 3학년이 되면서 1,2학년 때는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많았다는 걸 느꼈습니다. 아직 훨씬 부족하지만 저 역시 즐거운 마음으로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저희가 공부하는 것이 따뜻한 세상에 좋은 의미를 위해 쓰일 수 있도록 꼭 필요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_^*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