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막연한 유토피아를 바라지말라

1984멋진신세계는 미래사회가 인공수정,계급화,우상화(빅브라더/포드),전체주의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사회구조를 나타냈고 소설의 비극적 결말이 미래사회에 대한 작가의 비관성을 드러내지만 사회구조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전자의 반쾌락주의와 후자의 쾌락주의 사회라 말할 수 있다. 또한 모순을 나타내는 점에서 전자는 당원들의 반쾌락주의 후자는 보카노프스법의 신봉자인 인공부화연구소 소장의 과거로 두사회의 모순을 나타낸다.

두 사회를 미술적으로 비유하자면 같은 양식으로 그려낸 미술작품이라 보고 싶다. 르네상스 미술이 르네상스시기를 대변하고 예술성을 부흥 시켰듯 두 소설은 반유토피아적 미래사회를 대표한다. 그러나 같은 시기의 태어난 화가라 하여 똑같은 그림을 그리지 않듯 유사한 시대적 상황을 겪은 두 작가는 회의적으로 미래사회를 바라보지만 각자의 소설은 작가 자신만의 강조와 풍자가 느껴진다. 두 작가는 막연한 유토피아 세상이 도래하기를 원하는 우리에게 미래사회의 대한 인식을 더욱 넓히도록 하는 서로의 그림을 그려냈다 말하고 싶다.

댓글 11개:

  1. 미술작품으로 비유한 것이 흥미롭네요.
    <1984년>과 는 각자 다르게 그려진 그림이지만 두 그림이 의미하는 바는 어쩌면 비슷한 것 같아요.
    저는 두 소설을 읽으면서 인간 존재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된 것 같아요. 글 잘 읽었습니다. ^^

    답글삭제
  2. 읽으면서 글솜씨에깜짝 놀랐습니다.

    미술작품에 적절한 비유!! 멋있습니다.

    잘읽었어요~

    답글삭제
  3. 결국 두 작가가 말하고자하는 바는 같았다는 말에 동의하구요,
    그를 같은 양식으로 그려낸 미술작품이라고 묘사하신 것도 정말 독창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답글삭제
  4. 제가 요즘 미술쪽에 관심이 있어서인지 글을 쓰게되다 보니 미술쪽을 언급하게됬네요 좋게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5.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두 작가는 다른 작품을 그려냈지만 그 핵심엔 상당히 비슷한 부분을 꼬집고 있는 것들이 많죠

    답글삭제
  6. 미술작품과 문학작품의 비교라는 점에서는 흥미로웠습니다. 동시대의 같은 기법의 미술작품이지만 화가의 따라 다양한 작품이 나오듯 같은 비관적 미래를 바라봐도 시선은 약간 다르겠죠. 그차이도 송준호님의 미술적 비유로 듣고 싶을 정도네요^^

    답글삭제
  7. 첫번째: 내용이 정말 괞찮음.
    두번째: 르네상스 미술을 언급하여 비유한 것은 정말로 독자에게 신선한 느낌을 드림.
    세번째: 자기생각을 나타내는 후반부부분이 약간 늘어짐.

    답글삭제
  8. 철저하게 신세계를 찬양했던 토마스의 모순. 1984에서 오브라이언이 정말로 형제단이었다면 어땠을까하고 상상하게끔하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9. 준호가 미술에 관심이 많구나. 그렇지. 네 말대로 두 작가가 모두 디스토피아를 묘사하지만 강조점에 차이가 있다. 그 핵심적 차이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현대사회와 관련지어 생각할 때 어떤 함축성을 갖는지를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구나. 너도 지적했지만 쾌락에 관한 입장이 크게 상반된다. 오늘날 현대인은 쾌락적 탐닉을 위해 너무 많은 것을 내놓고 있는 것 같다. 헉슬리의 쾌락주의적 디스토피아가 오웰의 반쾌락주의적 디스토피아보다 현대 사회에 더욱 적합한 비판처럼 생각되는구나. 앞으로도 수업에 열심히 참여해 주길 바란다.

    답글삭제
  10. 저도 작가둘이 자신의 관점에서 풍자를 했다고 생각합니다.미술작품으로 설명하시니 이해가 잘 되네요. 서로의 작품을 단지 미래사회에 대한 인식을 넓혀주는 것 뿐만아니라 경고적 측면도 있는거 같아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11. 저도 헉슬리의 쾌락주의적 디스토피아 세상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좀더 날카롭게 지적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약간은 제 메시지 전달을 모순성에서 강조하고싶었는데 분량을 생각하다보니 그점이 약해진것이 아쉽지만 다음글에서는 제생각을 더욱 날카롭게 담에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