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소설로 돌아보는 현대사회

‘1984년’과 ‘멋진 신세계’는 둘 다 철저하게 정해진 계급사회에, 변화를 꺼리고 안정만을 추구하려는 사회적 모습을 보여준다. 사회적 안정을 추구하는 방식에서 두 소설은 차이를 보이는데, ‘1984년’이 국가의 철저한 감시 속에서 개인의 사상과 감정을 억압하여 공포적인 안정을 추구하고 있다면 ‘멋진 신세계’는 인공부화를 통해 인위적으로 계급을 나누고, ‘조건반사적 훈련’과 ‘소마’를 이용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변화의 필요성을 망각하도록 하고 있다.
‘1984년’의 ‘텔레스크린’과 ‘멋진 신세계’의 ‘보카노프스키법’은 현대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사생활 감시와 유전자 조작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변화와 개인적인 감정을 존중해주는 현 사회도 미래에는 안정을 고수하고 기득권자들의 안위를 위한 체제를 만들어가지 않을지 염려가 된다. 두 소설에서 전체적인 안정을 위한 소수의 희생과 쇠퇴하는 과학과 예술, 무지해져가는 대중들의 모습을 실감할 수 있었다.

댓글 12개:

  1. 또, 우리 대중 역시 편리와 만족만을 위해 스스로의 존재나 가치를 포기하는 일도 있어서는 안 될 것 같아요.
    멋진신세계에서 9년전쟁 이후에 안정을 원하는 대중들이 어떤식으로라도 좋으니 행복하고 안정된 삶을 만들어 달라고 하잖아요.
    글 잘 읽었습니다. ^^

    답글삭제
  2. !오! 명료한지적!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3. 10줄이라는 짧을 글 속에 명확하게 생각이 들어있는것

    같애요. 읽으면서 제 생각이 정리되는 느낌이었습니다.

    너무 좋은 글이에요~ 잘 읽었어요~

    답글삭제
  4. 변화의 필요성을 망각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절이 너무 와닿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5. 안정추구를 위해 대중들을 무시하는 전체주의적 발상은 결국 과학과예술의 쇠퇴로 이어진다는 말이 가장 대중들이 멋모르고 당할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여겨집니다. 요즘 서울 홍대나 인사동만 가도 예술의거리 인디밴드의거리 였던 그곳들이 이제는 먹거리나 술집으로 가득차있는데 어찌보면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안정추구보단 물질만능주의 사회가 예술인들을 점점더 코너로 몰고가고있단 생각이네요 .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6. 하도 cool이 많아서, 잘 분석해 보고 참고함.

    일단 이글은 공통점을 간략하게 표현하면서, 그 공통점 안에서 차이점을 발견하는 방식임.

    그리고 자기의 생각을 쓰는 부분에는 소설에 나온 기술하나를,
    현대사회의 과학기술과 비교하면서, 소설에 나온 사회와 현대사회를 비교함.
    그리고 썩은 기득권층의 오로지 안정만 추구하는 반 개혁적인 모습을 비판했다는 점에서, 이 글을 쓰신분에게 많은 호감을 가짐.ㅎㅎ

    답글삭제
  7. 윗분가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열줄이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짧은 분량인데 그 안에 내용비교와 자신의 생각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어요 잘 읽고 참고도 하게 되는 글입니다

    답글삭제
  8.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9. 주제를 잘 선정한 것 같습니다. 또내용이 많이 간략해서 정말 좋지요.^^

    답글삭제
  10. 기득권의 안정을 위한 체제,,, 아일랜드란 영화가 떠오르네요. 인간복제기술을 통해서 만들어진 인간들을 기득권의 여유 부품으로 만들어 버리지요. 이것 또한 현실가능성이 높은 것 같아요. 만인을 위한 기술은 앞으로 자본주의가 계속 되는 이상 없어지지 않을 것 같네요.

    잙있었어요~

    답글삭제
  11. 잔듸는 복잡한 내용을 책을 요약하는 솜씨가 아주 뛰어나구나.네 지적처럼 사회적 안정이라는 명목으로 우리 사회는 많은 것을 희생시키고있는 것 같다. 사회적 안정이 중요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안정과 질서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한 사회를 숨막히게 만들지. 더구나 기득권을 누리는 사람들에게 안정과 질서는 축복일지 모르지만 변화와 탈출이 필요한 계층들에게는 억압이 될 것이다. 더구나 끝없는 변화가 요구되는 정보사회에서 안정은 곧 퇴보이기도 할 것 같다. 참 어려운 문제이구나.

    답글삭제
  12. 기득권자들이 자신의 안위를 위한 체제를 만들어갈 때 과연 우리가 그들이 하는 일을 인지하고있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요즘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정치엔 많은 관심이 없죠.미래엔 더욱 더 많은 소마가 있을 것이고 지금과 같이 정치에 관심이 없다면 그들을 견제할 수 있을지 의문이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