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멋진 신세계' 멋지지 아니한가?

'1984'의 사회가 텔레스크린에 의한 감시와 극단적인 금욕주의,전쟁,빈곤 2분증오로 보여지는 증오기반의 독재사회라면 <멋진 신세계>의 사회는 소마와 쾌락주의 로부터 주어지는 행복,안락함 들이 넘치고 질병과 죽음따위를 걱정할 필요도없는 오히려 불행할 자유가 없는 사회이다.그렇지만 결과적으로는 '1984', '멋진 신세계' 이 두 작품 모두 과학의 발달과 전체주의, 인간성 상실 이라는 것이 결합 됫을때 발생될 수 있는 비극적인 미래를 보여줌으로써 현대인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비관적인 관점의 소설들이다.하지만 나는 이 두 소설을 읽으면서 '1984'년의 런던은 지옥 같은 느낌을 받았지만 '멋진 신세계'의 런던은 오히려 약간의 매력을 느꼈다. 극단적으로 묘사된(96쌍둥이,소마 등)부분을 제외 한다면 이 작품의 세계는 정말로 멋지지 않을까? 이 사회에서는 자신의 일에 만족할수 있고 행복하다. 자고로 모든 인간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추구이다. 그렇다면 그 방법이 설사 자유와 감정을 억압 하는 것이라 해도 만약 그것을 통해 정말 행복해질 수 있다면 괜찮지 않을까?

댓글 4개:

  1. 제가 알파,베타 계급이라면 저라도 만족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델타,감마,엡실론... 상상이 가지도 않네요. 선택받은 자만의 행복. 너무나 비극적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2. 위에 의견과 어찌보면 비슷한 의견입니다.
    멋진신세계는 태어나는 과정에서 이미 정해진 계급화사회입니다.
    그러다보니 탄생이후부터 내인생을 알파,베타,델마 감마등..나눠진 계급으로 죽음을 맞이해야하는데 물론 이들은 서로의 계급에 만족하도록 교육을 받아 자신의 계급을 만족하고 묵묵히 살아간다 하지만 버나드막스 같은 인물이나 존은 이런사회에서 어쩔수없이 순응하냐 희생되냐 양자택일 할수 뿐이없는 사회라생각합니다.

    답글삭제
  3. 몇년전 베트남 정부와 일하면서 나는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의 추구하는 목표가 인민의 행복임을 알게되었단다. 멋진 신세계의 세계국가와 같은 셈이지.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한다는 네 말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행복의 추구란 너무 피상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니? 무엇이 행복인지는 대단히 주관적이기 때문에 흔히 그것은 구체적인 의미가 없는 말이다. 그런데 세계국가는 무엇이 행복인지를 국가가 정의해 준다. 아마도 적지 않은 사람들의 불행은 거기에서 시작되는 지도 모른다. 헬름홀츠, 야만인 존은 국가가 정의해 준 행복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 아니니? 행복은 확실히 까다로운 주인인 것 같아.

    답글삭제
  4. 국가에서 정해주는 행복이 모든사람에게 적용이 되지는 않겠군요 모두를 행복하게 하려면 스스로를 행복 하게 하는 방법 밖엔 없겠어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