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멋진신세계 와 1984년

멋진 신세계와 1984년
1984년멋진 신세계는 사적인 감정을 금지하고, 계급사회 속에서 정보격차가 존재하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포드와 빅브라더와 같이 한 사람을 존경한다. 그리고 두 작품은 미래사회를 지옥으로 보고있다. 반면 멋진신세계는 육체적인 쾌락을 허락하지만 1984년은 모든 남녀행위를 금지하고있다. 1984년은 전체주의사상에 기반한 감시사회와 계급사회인 반면 멋진 신세계는 평등사상에 기반한 계급사회인 것이 차이점이다.
우선 두 작품을 보면서 정보통제면에서 볼 때 현재 중국과 구글회사 간의 분쟁이 떠올랐다. 그리고 1984년 처럼 극단적으로 정보를 통제하지않고 멋진 신세계처럼 정보를 조작한다던가 감시와 억압이 아닌 자유와 소마를 주는 사회 속, 즉 사탕을 주는 감옥에서 나는 과연 '존'과 같은 생각을 할 수 있을 지 모르겠다. 반 이상향적인 이 두 작품에서 미래에 정보통제나 조작, 그리고 반쾌락주의 같은 지옥같은 세계를 경험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이 작품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댓글 11개:

  1. 저도 과연 모든 쾌락이 만족되고, 너무도 안정적인 사회에서 끊임없이 저항하는 존과 같이 저항할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어요..앞으로 세상을 살아가면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답글삭제
  2. 결국은 인간은 점점 편해지고 있는 감옥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잘읽었어요~

    답글삭제
  3. 오잉 <1894년>을 <1984년>으로 수정하셔야 하겠네요. ^^

    음.. 저는 가 평등사상에 기반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어요. 왜냐하면 아예 태어날 때부터 계급이 정해지고 누가 더 우월한 지 결정되어 버리잖아요.
    알파와 엡실론이 평등하다고 말할 수 있나요?

    답글삭제
  4. 친근감이 느껴지긴하는데, 평등사상, 이 부분은 좀 정정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계급화 되어있는 상황을 보면 정말 평등하다고 보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아니면 혹시 평등사상이라는 말이 계급평등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물질의 평등을 뜻하는 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점에서 물질의 평등을 뜻하는지 설명해 주셨으면 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5. 저는 평등사상을 이 문학작품내에서 평등사상이 아닌 그들이 말로만 주장하는 평등을 말하는 거였는데 제가 잘못 이해하고 썻나봅니다.

    답글삭제
  6. 추노에서 대길이가 이렇게 말하죠.
    "지랄같은 세상"...
    문득 떠오르네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7. 저라면
    그래도 멋진신세계나 1984의 주인공의 삶을 사느니
    추노가..훨씬

    여담이고
    반쾌락주의를 지옥세계와 같다고 표현한게 정말
    강한 부정이 느껴지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8. 반쾌락주의도 지옥일수도있지만 쾌락주의또한 지옥같은 느낌을 받을꺼같아요.

    답글삭제
  9. '사탕을 주는 감옥'이라는 표현이 산뜻하다. 이 작품들이 경고하는 세상이 도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단지 주시한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겠지. 어쩌면 그 비슷한 세상이 이미 와 있는 것은 아닐까? 작품 전체를 metaphor로 생각한다면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그 '감옥'을 깨기 위해 별로 하는 일이 없는 것 같다. 오히려 사탕의 유혹에 선선히 감옥으로 걸어들어가고 있는 것이 현대인의 모습이 아닐까?

    답글삭제
  10. 주시만 할뿐만 아니라 해결방법을 생각해보아야할거같네요. 사탕의 유혹에 선선히 들어가는 걸 생각해보니 경품얻을려고 개인정보를 그냥 줘 버리는 우리사회가 생각나는군요. 마약합법화나 성매매합법화에 말이 많은거 보면어쩌면 근 미래에 마약이나 성매매가 소마같은 역할을 하게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들고,벌써 그런 세상에 와있는 기분이드네요.

    답글삭제
  11.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