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이성을 기반에둔 미래사회
1984년과 멋진 신세계에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각각의 계급이 있어서 하는 일이 다르고, 각 개인이 국가를 위해서 일하는 전체주의 사상이 바로 공통점이다. 하지만 이 두 소설에는 뚜렷이 보이는 차이점들이 있다. 1984년은 감정을 억제하는 반 쾌락주의적인 사회인 반면, 멋진 신세계는 감정을 추구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쾌락주의 사회이다. 또한 1984년은 “2분간 증오”라는 프로그램에 의한 증오에 기반을 둔 사회인 반면, 멋진 신세계는 사람들이 모두 행복하다고 생각하고 사는 사회이다.
이 두 소설에 나오는 미래사회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보다 훨씬 암울하고 비극적이다. 하지만 우리의 미래사회는 이 소설에 나오는 것보다는 밝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이 두 소설에는 인간의 이성적인 면 에서는 간과하고 있거나, 이성적인 면이 있더라 하더라도 사회구조적인 시스템에 의하여 좌절된다고 본다. 하지만 미래의 우리 사회에는 인간의 이성적인 면을 기반을 두어 사회체계가 이루어질 것이고, 과학이나 기술적 측면은 인간의 이성적인 면을 보조하는 역할 만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1984년>과 둘 모두 '불안정'인 요소에 대해 통제를 가하고 있는 것 같아요.
답글삭제사랑이라는 인간 본연의 성질?을 통제하기 위해 <1984년>에서는 반쾌락주의를 강제했는데, 에서는 아예 인간 본연의 성질을 제어해버려서 인간 자체가 마치 기계처럼 무결하게 움직임으로써 불안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엄청 흥미로웠거든요. 글 잘 읽었습니다. ^^
과학의 적절한 조정으로 인해 미래사회가 밝다고 생각
답글삭제하시고 계시네요. 이성적인 면만을 보조하는 과학기술의
시대가 언젠가는 도래하겟죠?^^
잘 읽었어요~
저는 굉장히 안 좋은 쪽으로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답글삭제이 글을 읽고 다시 긍정적으로도 생각해볼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정말과학의발달이 긍정적으로만 이루어질수있도록
답글삭제조절할수있다면 그보다 좋은 사회는 없겠죠...?
잘읽었습니다.
과힉기술적 측면은 이미 지금도 우리에게 보조적 차원을 넘어서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면이 많지 않나 싶어요? 제가 너무 부정적인 건가요? ^^;;
답글삭제인간의 이성이 기술을 지배하는 기술등은 단순히 보조물의 역할만을 한다는 긍정적인 생각이 마음에 듭니다. 저도 우리의 미래가 위 소설들 처럼 불행할거 라고는 생각지 않거든요^^
답글삭제사회체계에 관해서 좀더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답글삭제글쎄요, 과연 긍정적으로 발달할런지요. 일례로 아이티의 대지진이 미국의 최신 무기의 결과라고도 말하는 사람들이 있듯이, 우리의 미래가 최신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할 것이라고는 장담할수 없을 것 같아요.
답글삭제잘 읽었어요~
지영아, 인간의 이성(혹은 합리성)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 지 모르겠구나. 사실 두 소설 모두 제1차세계대전과 제2차세계대전이라는 파괴적 전쟁으로 인해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가 바닥에 떨어진 상황에서 쓰여졌다. 과학과 기술 자체가 이성의 산물이기도 하고. 네가 이성을 성찰적 능력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겠다. 끝없는 성찰과 자기 비판이 없다면 과학과 기술은 인간이라는 주인의 손을 벗어나 버릴 것이다. 어쩌면 두 작가는 모두 그 부분에 대한 절망을 나타내고있는 것 같다. 나머지 수업시간에 함께 희망을 찾아보자.
답글삭제인간의 이성적 측면이 정확하고 튼튼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쾌락을 추구하는 감성적인 면에서 인간의 이성적 측면이 안무너지고, 미래사회엔 밝은 사회가 되었음 좋겠습다.
답글삭제잘 읽었습니다.
인간의 이성이라는 것이 바닥에 떨어진 상황에서 소설이 쓰여지긴 했지만, 그 때의 상황보다는 미래의 인간에게는 좀 더 발전되고 성찰적인 이성일거라는 생각을 저도 했습니다. 그리고 이 두 소설보다는 밝은 미래를 원하는 돌출구로 이성을 생각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