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밝지만은 않은 미래

1984년과 멋진 신세계란 작품은 둘 다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 인간들이 기계들에게 지배당하는 삶을 그린 작품이다. 인간이 기계적으로 살아가게 되는 것은 비슷하지만 1984년은 반쾌락주의 이념에 따라 더욱 더 자신들의 쾌락은 중요시 여기지 못한 채 자신들의 당을 위한 행위만을 해야했지만, 멋진 신세계에서는 인간들의 쾌락은 인정받는 사회였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섹스를 들 수 있다. 1984년에서는 자신의 당의 힘을 키우기 위해서만 허용이 되었지만, 멋진 신세계에서는 인간에게 섹스의 자유만큼은 주어졌다.
멋진 신세계란 작품이 인간의 쾌락에 대한 자유만큼은 인정해 주었다는 면에서 1984년에 지배체제보단 낫지만 태어나지도 않은 아기씨들을 아기라는 완전체로 변하기도 전에 어른이 받기도 힘겨워보이는 훈련들을 하고, 알파,베타,감마 등으로 나뉘어 종족이 정해지면 각 종족에 따라서 하는 생활을 가르는 것 자체는 가혹한 일인 것 같다. 아무리 종족의 번영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신생아때 부터 기계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은 너무 비인륜적인 행위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 12개:

  1. 인간의 자유,권리라는 면에서 보았을때 저는 1984와 멋진신세계중 오히려 멋진신세계를 더욱 어두운사회라 보고싶은데 그런점에서 의견이 일치하네요 글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2. 멋진신세계에서 허용해준 자유가 진정한 자유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 것은 더욱 중요한 가치가 빠져있기 때문이겠죠..? 저도 인간에게는 자신의 나이의 걸맞는 성숙함도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답글삭제
  3. 1984를 읽고서 과학이 더욱 진보한다면 유전자 조작에

    까지 생각했었는데, 멋진신세계 속에 등장하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너무나 반인륜적인 행위이죠..

    동감합니다.

    답글삭제
  4. 저 역시 에서 쾌락을 허용한다는 것이 오히려 더 무서운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쾌락을 허용하지만 사랑이나 고독이라는 인간 본연의 감정에 대해서는 이미 다 통제해 놓은 상태잖아요. 그래서 더 문제의식을 가질 수 없고 그러니까 무서운 겁니다.
    세뇌당한다는 것이 왜 무서운 것인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답글삭제
  5. ^^멋진신세계에서 나오는 비인륜적인 행동을 고발하는데 있어서,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6. 글을읽으면서 비인륜적행위부분에 있어서 지금 사회에서도 그런일이 있는데 멋진신세계처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글삭제
  7. 태어나기 전부터 계급이 정해지고 그에 맞게 수정이 된다는 것은 비인륜을 더해 비평등하기까지 하죠.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8. 우왕~굳 비인륜적이라고 주장하신 내용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9. 안정을 위해서라지만 선택의 기회가 없는 계급과 교육이 잔혹하다는 의견에 동감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10. 쾌락주의와 반쾌락주의 그리고 인간을 만들고 계급을 단정짓는것에대해 잘읽었습니당

    답글삭제
  11. 비윤리적이라는 용어가 왠지 낯설게 느껴지는구나. 하지만 덕분에 그 작품을 윤리적 차원에서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다. 그런데 윤리적 판단이란 시대에 따라 변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멋진 신세계에 대해 윤리적 비판을 하기는 참 어렵구나. 아마도 네가 비인간적이라고 표현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