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5일 월요일

과학보다 중요한 이성과 감정의 사회.

1984년과 멋진 신세계는 둘 다 계급주의 사회이고, 국가에 충성할 것을 맹세하는 전체주의의 모습을 보인다. 또한 사회의 안정을 추구한다. 그런데 1984년에서는 텔레스크린과 사상경찰등을 이용해 개인을 끊임없이 감시, 통제하고 멋진 신세계에서는 사람이 태어나기 전부터 계급을 나누고 철저한 계급주의를 주입시켜 그러한 감시조차 필요없게 만든다는 점에서 사회안정 시키는 방법이 조금 다르다. 그리고 1984년에서는 사랑과 쾌락까지 철저히 금지시키지만 멋진 신세계에서는 국가가 권장할 정도로 사랑과 쾌락에 대해선 무한한 자유가 주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막연히 미래 사회의 모습을 지금보다 훨씬 더 생활이 윤택하고 편리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1984년이나 멋진 신세계에서 표현되는 미래사회의 모습은 ‘불행’했다. 자유도 없이 평생을 감시받는 삶이나 태어나기 전부터 운명이 정해져 기계 같은 삶을 사는 모습. 과학의 발달을 맹신하기 전에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생명력있는 여러 감정들을 보듬어 살펴본다면 불행한 미래의 도래는 막을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 8개:

  1. 감정까지 감싸 안을 수 있는 과학기술이

    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잘 읽었어요~

    답글삭제
  2. 저도 이성적인 힘과 감정들을 잘 살펴 불행한 미래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차이점도 잘 지적해주셔서 공감하며 읽었어요!

    답글삭제
  3. 인간의 감정을 보듬어줄수있는 따뜻한 사회가 과학의발달과 함께 올수있는 사회가 오리라 믿습니다.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4.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글을 썼습니다 인간의 이성이 지배당하지 않고 감정이 자유롭게 존재 할 수 있다면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전하더라도 무력하게 지배당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겠죠

    답글삭제
  5.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과연 멋진신세계에 나오는 미래사회의 모습이 어떻게 불행한지를 조금이라도 간단하게 적어주시면 더 좋은 글이 될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6. 이성과 감정의 이상적인 조화. 참으로 어려운 것이지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7. 어쩌면 불확실한 미래는 인간을 불안하게 만들지만 확실한 미래는 인간을 절망하게 만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구나.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운명을 따라가야 하는 철저한 계급사회는 '소마' 없이는 유지가 어려울 것 같다. 상승할 수도 하강할 수도 있는 사회적 이동은 한편으로 인간을 불안하게 만들지만 다른 한편으로 삶에 동기를 주기도 할 것이다.

    답글삭제
  8. 교수님: 불확실하다는건 불안한 요소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인간은 희망을 가지고 살 수 있지만, 확실한 미래는 인간에게 허탈감과 절망감(지배 혹은 상류층엔 안정감이겠지만)을 안겨주겠지요. 코멘트 읽으니 제 생각이 훨씬 정리 잘 되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