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5월 18일 화요일

전환기의 저널리즘(5): 블로거와 저널리스트의 구분이 사라지고 있다

Media Shift의 대표인 Mark Glaser는 2008년 2월 28일자 MediaShift 기사에서 블로거 대 저널리스트의 논쟁이 막을 내릴 때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다음 네 가지 질문에 답해 보라고 한다.
1. 최근 George Polk Award를 받은 사람이 블로거인가 대중매체 기자인가?
2. 어떤 커다란 뉴욕 기반의 웹사이트가 네명의 편집자와 네명의 기자를 가지고 있으며 두명의 기자를 더 뽑을려고 하는가? 블로그 혹은 전통적인 매체사?
3. 어느 사이트가 대학을 갓 졸업한 젊은 블로거를 고용했는가? 블로그 혹은 전통적인 매체사?
4. 실리콘밸리에 있는 어떤 사이트가 온라인으로 기사를 출간하기 전에 80%의 스토리들을 편집하는가? 블로그 혹은 전통적인 매체사?


  해답: 1. 블로거  2. 블로그  3. 뉴욕타임즈  4. 블로그

워싱턴포스트닷컴이나 MSNBC.com과 같은 대규모 메인스트림 뉴스 사이트는 블로그로 넘쳐난다. 반면에 독립적인 블로그들은 더욱 보도를 많이 하고, breaking news를 내보내고, 전직 저널리스트들을 직원으로 고용하고 있다.
"아직도 볼로거들이 한 종족이고, 저널리스트들이 다른 종족이라고 믿고 있는 사람은 대략 2002년 이래 동굴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블로거와 저널리스트의 구분은 나날이 희석되고 있다.
지금 수천명의 저널리스트들이 블로그를 하고, 수많은 블로그들이 훈련된 저널리스트들이다.
워싱턴포스트닷컴의 대표 에디터인 Jim Brady는 "나는 독자들이 그들이 읽은 것이 블로그에서든 아니든 괘념치 않는다고 생각한다. 메인스트림 사이트든 순전한 블로그든 그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정보의 소스를 신뢰할 수 있는가이다."

대중매체와 블로그의 미래에 관련해 David Eaves는 흥미 있는 주장을 제기한다.

사회는 빠르게 투명사회(trnasparent society)로 가고 있다. 기관이나 기업이 풍부한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취재 환경에서는 기사작성은 더 이상 수수께끼 알아맞추기(puzzle solving)가 아니라 미스테리 풀기(mystery solving)가 된다. 수수께끼는 알아맞추는데는 감추어진 결정적 단서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지만, 미스테리를 푸는데는 이용가능한 방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종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대중매체는 제도적 장치(출입기자제, 언론의 자유등)에 의해 보호를 받으면서 '결정적 단서'에 대한 취재가 가능했지만, 블로거들은 그러한 보호를 받지 못한다. 그러나 그는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블로그가 대중매체에 비해 기사의 품질이 반드시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