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과 사회 과목 수강생 여러분, 마지막 온라인 수업입니다. 한 학기동안 여러분은 머리와 몸(주로 손)으로 정보사회학을 익혔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정보사회학은 어떤 학문인가요? 자신의 생각을 써도 좋고, 남의 생각에 코멘트를 달아도 좋습니다. 위트와 유머를 써도 좋습니다. 재미 있게 풀어보세요. 각자 개별 포스트를 올리지 말고 이 포스트를 수정하는 방식(
댓글이 아님)으로 쓰기 바랍니다. 한 사람이 너무 많이 쓰면 뒤 학생이 쓸 말이 없을테니, 아껴 쓰세요.^^
- (윤영민) 정보사회학은 신문방송학과 다르다.우리는 매스미디어 대신에 소셜미디어를 배운다.
- (윤영민) 정보사회학은 사회학과 다르다. 우리는 정보기술도 배운다.
- (윤인석) 정보사회학은 누가 잠을 덜 자고, 부지런한가의 싸움이다.
- (윤인석) 정보사회학은 혼자서는 어떻게 해볼 수 없는 학문이다.
- (윤인석) 정보사회학은 'TGIF'이다. "Thanks God It's Friday" 가 아닌
Twitter, Google, I-phone, Face-book 이다. →수업시간에 했던게 다나왔네~(김진희) - (원은란) WoooW! 윤인석 한 건 했다!
- (윤인석) 정보사회학은 윤영민교수님께서 미국을 가시더라도 절대 멈추지 않는다!!
- (서주희) 정보사회학은 Super-Trendsetter들의 것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사용하고, 생각하는 것만큼으로는 턱도 없다~~~!
- (송준호) 정보사회학은 스마트폰 구매욕구를 더욱더 촉진시킨다.
- (송준호) 정보사회학과 학생들은 보통 글을 잘쓰기보다는 쓰는것을 즐긴다.
- (문현덕) 정보사회학은 재밌다. 즐기다보면 어느새 지식이 쌓여간다.
- (문현덕) 정보사회학은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학문이다.
- (문현덕) 정보사회학은 살아있는 학문이다. 과거의 유물을 탐구하는 것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학문이다. 김진희→'미래지향적' 이라는 말은 제가 쓰려고 했는데, 먼저 쓰셧군요.ㅎㅎ
- (오환구) 정보사회학은 정보사회학이다. 다른 설명이 필요없는 것 같다.
- (오환구) 정보사회학은 계단이다. 배우면 배울수록 계단을 오르듯이 성장하는 느낌이 든다.
- (안민혁) 정보사회학은 무엇을 상상하든 상상 하는 것 이상을 보여준다.
- (안민혁) 정보사회학은 나를 먹여살려줄 것이다. →김진희: 이거 귀엽다...
- (김진희) 정보샤훼학은 현대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사회학이다.
- (김진희) 정보사회학은 실천적 지식인을 키우는 학문이다.
- (김진희) 정보사회학은 획일적 경쟁사회에 일침을 놓고, 군중을 집단으로, 집단에게는 참여를 일으키고, 참여한 집단에게는 개개인의 지성을 업그레이드한 형태의 지성인 집단지성을 갖게하며, 집단지성을 가진 인류는 인류의 소중한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며 조지오웰의 빅브라더와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막아내는 위대한 메시아적인 학문이다.!!!
- (김진희) [남의 생각에 코멘트를 달아도 좋습니다.] 라고 써있었는데, 실제로는 코멘트를 달 상황이 안 되서 정말 아쉽군요.허허
- (정구현) 우리가 정보사회학이다.
- (이범석)정보사회학은 경험이다.경험해보진 못한 사람은 도통 알 수 없는 미지의 세계
- (이범석)정보사회학은 노력이다. 스스로 찾아다니지 않으면 알 수 없다. 위와 비슷한데
- (이수진)정보사회학은 여러가지 소셜미디어들을 단순히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입장이 아니라 그에 발전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전문가의 입장에서 사용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는 학문이다.→이 분이 쓰는 글 보면 상당히 학구적임(김진희)
- (오세현) 정보사회학은 블랙홀이다. 배우면 배울수록 정보사회의 매력에 대해 빠져들기 때문이다.
- (오세현)정보사회학은 다른 인문계 학과들에 비해 미래를 추측하고 미래의 트랜드에 대비할수 있는 학문이다.
- (홍인기)정보사회학은 짱이다.
- (홍인기)정보사회학은 알면 알수록 더욱 어렵다.
- (홍유경)정보사회학은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있는 학문이다.
- (홍유경)정보사회학은 윤영민 교수님 머리 속에 다 들어있다. 고로 정보사회학을 발톱의 때만큼 이라도 알기 위해선 교수님의 수업을 들어야 한다.
- (장지영)정보사회학은 직접 해 보아야 더 이해가 가는 학문이다. 앉아서 공부하는 것에 더하여 직접 경험해 보아야 하는 학문이다.→이거 적절하네...(my name is kimjinhee)
- (김성진)정보사회학은 배워야 안다
- (김성진)정보사회학은 배우면 더알고싶다
- (홍인기)정보사회학은 짱이다.
- (원은란)정보사회학은 백문이불여일'행'이다.
- (원은란)정보사회학은 러닝머신이다. 속도에 맞춰 뛰지 않으면 뒤로 밀려난다.
- (원은란)정보사회학은 과학과 사회의 교차로이다.
- (김잔듸)정보사회학은 대세를 따르고 시대를 예측하며, 현재를 뛰어넘을 수 있는 학문이다.
- (김잔듸)정보사회학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거대한 실험주제이다.
- (윤미희)정보사회학은 과거 현재 미래를 모두 배울수 있는 학문이다.
- (윤미희)정보사회학은 노력과 비례한다. 정보사회학에 대해 이해하고자 노력하면 할수록 더 많이 알 수 있다.
- (윤미희)정보사회학은 몸으로 부딪쳐야 한다. 머리로만 이해한다면 무용지물이다.
친구들 글 귀여운거 좀 있다.ㅋㅋ. [ ~~~! ] 로 끝나는 글도 있고, [나를 먹여살려줄 것이다]라고 하는 광신도 적인 글도 있고.ㅋㅋ
답글삭제Big Brother IS WATCHING YOU!
답글삭제생각나서 적어보았습니다. 제가 학기초에 다른 과목 시간 칠판에다가 이렇게 써 보았는데, 이제 이런 글 쓸만한 칠판을 찾아보기 어렵네요.ㅋㅋ
세번째 글에 한번 유식한 척을 해봤습니다. 이거 정말 좋네요... 표현을 자유롭게 한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