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7일 월요일

다른학우들의 글을 읽으며.

마지막 과제였지만. 과제라생각되지 않은 과제가 바로 오늘 이렇게 작성하고 있는 이 글입니다.
저번시간 우리는 제한된 시간이였지만 부족하게나마 우리가 알고있던 집단지성의 대한 정리부터 SNS의 사회적 영향까지 두루두루 적어보았습니다. 저 또한 이런식의 글쓰기일거라 예상치 못해서인지 [제가 예상한것은 위키피디아 정보사회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서로 올리는글을 수정하는 과정.. 이건 언제한번해보면 재미있을것같다. :-) ] 글쓰는 주제가 어떤것이냐에 따라서 시간이 많이 촉박하기도 생각보다 수월하게 넘어가기도 하였습니다. 이것이 제 능력의 차이겠죠. 어찌되었든 모든글을 읽으며 제가 느낀것...어쩌면 저를 포함한 다수의 학생들이 짧은시간에 글을 작성해야하는 부담감의 영향 혹은 더 발전시켜 생각해보면 짧은 시간 약술하기에는 SNS 혹은 집단지성이 가진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기에도 부족했던것 때문일까..? 우리가 배운 집단지성과 SNS의 관하여 너무 긍정적 측면만을 바라보았던것 같습니다. 제가 쓴 모든글 또한 긍정적면만을 부각시켜쓴글이 였고 어찌보면 이것이 습관화 처럼된것이 아닌가 하는점이였습니다. 그래서인지 다른학우들 글중 비판성을 띄고 있거나 혹은 문제제기를 한 글들이 보일때마다 오히려 더욱 생각을 하게되고 집중하게되는 것도 이때문이였을 거라생각합니다. 앞으로 배워야할것이 많은 정보사회학이라는 학문에 있어 '왕도'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우리가 지금 배우고있는 집단지성, SNS에도 긍정적 측면만을 찾아가서는 절대 우리가 추구하는 미래의 모습을 볼 수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소 어두운면일지라도 부정적인면과 사례들을 찾아내고 보안하는 길위에 서있을때 이길에서 '정도'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한학기동안 교수님과 학우분들 정말 수고많으셨고 2학기에는 조금더 우리가 소통할 수 있는 글을 쓰는 정보사회학학우분들이 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댓글 3개:

  1. 준호야, 넌 타고난 Web. 2.0 세대이다. 항상 행보가 경쾌하고, 그러면서도 진지하고, 늘 타인배려적이며,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는 네 모습이 참 좋다. 기왕에 입문한 정보사회학인데 꼭 대성하거라. 방학 중에영어 공부도 열심히 하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경험도 풍부하게 쌓고 글도 많이 쓰기 바란다.

    답글삭제
  2. 형의 긍정적인 측면의 글도 매력이 넘쳤어요 ㅋ
    형 정말 글을 잘쓰시는 것 같아요.ㅎㅎ

    답글삭제
  3. 감사합니다 교수님 항상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않고 해주시니 저로써는 정말 큰힘이됩니다. 한학기동안 정보사회학분야에 있어 제가 가진 사고와 능력을 이번수업을 통해 확장할수 있는 좋은기회였다고 자신있게 말하고싶습니다. 방학중에도 종종 질문드리고 코멘트 받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