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학기동안 우리가 배운 집단지성의 의미, 정의는 나와 학우들의 생각에 별다른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없었다. 거의 모든 학우들의 공통적인 이야기가 협업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나가는 것이 집단지성이라는 이야기였다. 집단지성의 예로 많이 든 것은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wikipedia, google 등이 많이 거론되었다.
집단지성의 사회적 영향은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학우들이 정보격차의 완화와 지식은 더이상 소수의 독점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기여자가 될 수 있다는 점 등을 설명하며 긍정적인 면을 많이 이야기 했다.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정보의 격차가 줄어들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우들의 의견 중 돋보였던 의견은 정보의 격차에 대해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었다.
소셜미디어의 정의에 있어서도 매스미디어와 비교하여 페이스북, 트위터등을 예로들어 참여하고 소통하여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라는 의견이 거의 일치했다.소셜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에서는 인간관계의 유지에 많은 도움은 주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관계에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등 긍정적인 측면을 많이 제시했다. 하지만 어떤 한 학우는 이런 소셜 미디어의 의존하면 오프라인 관계에서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해 소셜미디어의 불이익에 대한 생각을 해볼 수 있게 해주었다.
집단지성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미래는 많은 학우들이 조지오웰과 올더스 헉슬리의 미래세계를 비판하며 각자생각하는 긍정적인 미래를 그려냈다.
모든 학우들의 글을 읽으면서 먼저 든 생각은 10분이라는 시간제약이 있어 자신의 생각을 다 표현하지 못한 점이 느껴졌다. 그리고 나와 비슷한 생각들을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보기술과 사회를 수강한 학우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학우들이었다. 이런 학우들과 한학기동안 수업을 통해 많은 생각을 공유 할 수 있어서 좋았고, 정보사회학과에서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해야하는지 몰랐던 나에게 많은 깨달음을 주신 윤영민 교수님께 정말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유경아, 학기초에 네가 가끔 수업에 빠지고 해서 걱정을 많이 했다. 학기 후반기에 네가 정보사회학도로 태어나는 모습을 보는 것은 내게 큰 즐거움이었다. 이제 입문을 했으니 정보사회학을 많이 즐겨보아라. 아마도 네가 상상한 것보다 재미 있는 것을 훨씬 발견하게 되리라 생각한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