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12일 금요일

사회적 정보격차

한 사회 내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격차
1. 정보생산 단계
- 공공정보의 빈곤
- 정보의 지나친 상업화
- 심층웹(deep Web) 혹은 보이지 않은 웹(invisible Web): 표준적인 검색엔진에 의해 인덱스 되지 못하는 웹상의 정보

2. 정보전송 단계
- 호모필로스 커뮤니케이션(homophilous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의 폐쇄성은 해소되고 있는가?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에 따른 정보 격차. 이 관점에서 최근의 사회적 미디어(twitter, facebook 등)를 생각해 보자.
- 정보기술 접근의 불평등: 구매력에 따른 불평등 접근, 지역적 차이, PC, 스마트폰, e-Book
- 보편적 접근(Universal Access): 전화에 적용되던 개념, 여전히 유효한가?
- 특정 상업적 소프트웨어에 편향적인 인터넷 환경
우리나라는 아직도 MS Windows의 천국. MS Windows vs. Linux
상업적 소프트웨어(MS windows, IE, 크롬) vs. 공개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Linux, Firefox, Wordpress)
Active X의 문제: IE 이외 웹브라우저 사용을 어렵게 만듦


3. 정보수용 단계
- 수용자 개인적 수준에서 문화자본(cultural capital) 혹은 교육수준에 따른 수용 정보의 차이

Web 2.0: 개방, 공유, 참여: 이 정신은 얼마나 구현되고 있는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s) 대 디지털 이민자(digital immigrant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