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미래

집단지성과 소셜미디어를 보며 나는 조지 오웰의 미래상 헉슬리의 미래상에 대해 이렇게 생각한다.(감시,통제,쾌락)

나는 조지오웰의 미래상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
조지 오웰은 100년뒤인 2084년에 감시와 통제가 심한 사회가 된 사회를 미래로 보았지만,
미래에는 감시와 통제 보다는 방목이 심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사람들은 점점 이기적인 인간이 되어 가는 것 같다. 이런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에서
감시와 통제를 하기보다는 사람들 서로서로가 정이 없어지고 서로 방목하는 사회가 될 것 같다.
이 점에서 헉슬리의 미래상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동의한다. 사람들이 방목되어지면 자기들 마음대로 할 것이고 그렇게 하다보면 재미 즉 쾌락을 추구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내가 보는 미래상은 이제 단순지식의 차이로는 계층이 나뉘어지지 않고
누가 더 새로운 것 누가 더 창조적인 것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식의 소유여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 5개:

  1. 오웰은 2084년 아니라 1984년을 그렸지? 1930년대 말이다. 마지막 문단의 지적이 아주 좋다. 창의성의 중요함에 대한 강조에 공감한다.

    답글삭제
  2. 지식의 소유가 문제가 아니라 이제는 창조적인 것의 발휘가 결정적 포인트라는 말이군요. 맞나요?^^^^^
    개인적인 혁신보다 인터넷에서는 집단지성의 협업이 혁신에 더 잘 맞는 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답글삭제
  3. 맨마지막줄,, 지식의 소유는 더이상 중요하지 않다,,

    여기가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지식의 소유관에 관한 수

    많은 논란들을 오환구 학생이 잠재워 주세요!

    답글삭제
  4. 고정관념을 깨고 잘 쓴 것 같아요. 환구는 비관주의자 인 것 같은데, 오웰이나 헉슬리와는 또 다른 사상을 펼친다는 점이 정말 훌륭한 것 같아요.

    답글삭제
  5. 무섭지만 설득력있는 글이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