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Social media의 사회적 영향

Information (정보)
구메스미디어의 정보만을 지식이다. 혹은 진리이다. 생각한다면 이제 이들과의 대화조차 힘들 수 있다. 정보는 더이상 전문가 소위 '지식인'의 전유물이 아니다. 우리는 정보를 생성하는 주체가 될수 있으며 또한 정보를 선택하고 공유할 수있다. 그만큼 정보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줄일 수 있으며 나자신만의 의견이 아닌 모두가 공감할 수있고 참여할 수 있는 과정을 겪으며 정보를 생성하고 얻어간다고 생각한다.

Task (업무)
효율성을 위해 존재하는 '관료제' 성격인 업무 또한 더이상 혼자만이 처리해서 그 상위집단으로
결국은 최상위 집단이 결제하는 식에 일처리는 더이상 효율적이지 않다. 우리는 공유를 통해
업무 다방면에서 서로 참여하며 치밀한 수정과정을 통해 최종결과물을 만들어낼것이다. 위키피디아가 좋은 예이다.
식에 처리는

댓글 6개:

  1.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과정을 겪으며 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업무적인 면에서 집단지성을 설명한 것도 재미있네요.

    식에 처리는... (시간이 없었구나)
    ㅋㅋㅋ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2. 한가지주어진 테스크에 또 세분화된 테스크를 쓰려다보니 정리간안되었어;; 정말 리얼하게 시간이 없어보이는 글..........

    답글삭제
  3. 뒤에 나올 글이 궁금한데..??

    답글삭제
  4. 뭔가 대단한 것을 설명하시려고 한 것 같은데, 참 아쉽네요.ㅎㅎ

    답글삭제
  5. 시간을 충분히 주지 못해 미안하다.

    답글삭제
  6. 잘읽었습니다. 완성된 글이 아니라 아쉽긴 합니다만 좋았습니다. 그런데 TASK에서 지적하신점은 소셜미디어의 영향이라기 보다는 집단지성의 영향이 아닌가요? 좀더 자세한 설명을 수정해주세요 ㅎ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