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8일 월요일

1984년과 다른 2084년

1984년에서는 무서울 정도로 개인감시가 철저하게 되어있다. 당원들은 거의 하루24시간을 정부의 감시 속에 살아간다.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있는 세상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1984년을 2084년으로 바꿔 쓸 수 있다면 감시 체제를 바꾸고 싶다. 1984에서 처럼 정부의 감시를 받게 된다면 2084년에는 그 감시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면 텔레스크린을 통해 정부에서 보게 되는 화면을 개인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 시켜 정부가 착각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만약 1984년에서 처럼 사람들이 정부의 감시 속에서 살아간다면 2084년에는 그 감시를 피해 사람이 사람다운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게끔 만들고 싶다.

댓글 6개:

  1. 영화 에서 보면 정예 멤버가 카지노를 상대로 CCTV, 금고경비시스템을 조작해서 감시망을 피해 돈을 빼가잖아요.
    이 영화의 형태처럼 정부의 감시망을 조작한다는 뜻인가요?

    그렇다면 감시대상에 대한 데이터(말씀하신 텔레스크린의 화면)를 모두 컨트롤할 수 있는 어떤 시스템이 또 필요하겠군요.

    모두가 그렇게 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똑똑한 개인이 감시대상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그렇게 시도한다면 상당히 흥미롭겠네요. ^^

    답글삭제
  2. 당이 개인을 통제하기 위해 애쓰는 거 못지 않게

    개인도 또한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서

    과학기술의 엄청난 발전이 예상됩니다.

    텔레스크린 조작 같은 것들이 적발 되면 범죄 형태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3. 텔레스크린을 속이더라도 사람들속에서 사람들을 감시하는 사상경찰들이나 이중스파이등 여러 걸림돌이 더 있기에 좀 더 체계적인 계획이 생겨야 될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4. 텔레스크린을 통해 정부에서 보게 되는 화면을 개인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 시켜 정부가 착각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라는 이부분에서 그렇다면 그 개인은
    어떠한 특정한 한사람인가요 아니면 불특정 다수인가요?
    마치 모든사람이 조작할수있는거라면 감시화는 불가능 하다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
  5. 감시에 대한 조작을 하는 발상은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6. 감시사회에서 감시를 피해가면 사람답게 살 수 있을까? <1984년>에서 줄리아가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나? 프랑스의 철학자 미셀 푸코는 Panopticon effect (파놉티콘 효과)라는 개념을 가지고 그것이 불가능함을 설파했다. 수업시간에 얘기한 것처럼 파놉티콘은 굳이 감시탑 위에 간수가 없어도 죄수들은 스스로 규범을 내면화하여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감시사회가 되는데는 시민 모두를 감시할 필요도 없고, 항상 감시할 필요도 없다. 시민들은 자신들이 항상 감시를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끔만 하면 시민들이 스스로 알아서 규범적 행동을 한다는 말이지. 참고로 영상폰에서 상대방과 통화시 영상을 대체해주는 어플은 오래 전에 나와 있단다. 다음주에는 좀 더 치밀한 글을 기대하마.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