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8일 월요일

2084년, 스미스는 죽지 않았다

현재 정보기술발달 상황으로 볼 때, 2084년에는 우리가 상상하지도 못한 기술이 발달할 것이다. 핸드폰이나 컴퓨터를 넘어선 정보화기기가 사회를 더 넓게 만드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개인을 옭아맨다. 핸드폰이나 인터넷의 발달로 개인을 감시하는 것 정도는 당연한 일이고 국가에는 전혀 그렇지 않을 것 같은 이름의 부서가 24시간 내내 전 국민을 감시한다(가령, 평화부?). 하지만 1984년과 다른 형태로 겉으로 보기에는 전혀 자신이 감시 당하고있다는 것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그저 태어날 때부터 개인마다 작은 칩이 내장되어 있어서 그 사람의 생각까지 지배할 수 있을 뿐.
그러나 그런 사회에도 스미스 같은 사람은 있다. 어느 날 문득 (칩의 오류는 있을 수 있는 일이니까..)이런 사회에 의문을 가지며 개인의 자유를 원하는.. 2084년에도 역시 그런 자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종이에 반감을 표현하는 글 하나를 쓰는 것으로 시작될 것이다. 컴퓨터 따위는 더 이상 자신만의 세상이 아니므로. 조금 더 욕심을 내자면, 내가 쓰는 <2084년>에는 스미스 한사람의 생각이 사회를 바꾸는 씨앗이 될 수 있길 바란다. <김지현>

댓글 10개:

  1. 칩의 오류를 통한 우연적인 <2084년>의 윈스턴 스미스!

    저는 계속 생각의 지배까지 가면 더 할 말이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칩의 오류라니...
    신선하네요!^^^^^

    답글삭제
  2. 저도 칩을 내장한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칩의 오류까지!!

    비슷한 생각~ 반가워요 ^^

    답글삭제
  3. 개인이 생각을 바꾸고 스스로 자유를 누리고 살기는 쉽지만 아마 오래가지 못할꺼 같아요. 그 사람 하나만 바뀐거지,여전히 세상은 기본체제안에있어 어쩌면 스스로 외톨이가 되는 것 같아요.ㅠ

    답글삭제
  4. 미래사회의 스미스는 정말 1984년에서 처럼 되지않았으면
    하는 생각 정말 동감입니다.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5. 칩의 오류, 영화에서 주인공이 승리하기위해 있어야 할 필수조건이죠~

    답글삭제
  6.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7. 칩이 만약 나에게 있는 채로 태어나게 된다면 정말 끔찍할 것 같아요.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겠죠?

    답글삭제
  8. 칩이라.. 영화에서나 자주 보던 단어인데 이런식으로 생각했다니 신선하네요 ㅎ

    답글삭제
  9. 지현아, 태어날 때부터 몸에 심어진 칩은 재미 있는 발상이다. 그리고 칩은 충분히 오류가 날 수 있겠지. 그런데 왜 칩을 심지? 누가 누구의 동의를 받아서? 강제로? 설마 칩을 달고 태어난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겠지? 아무리 우리가 사이보그이기는 하지만 엄마 뱃속에서 아예 사이보그로 태어난다는 것은 좀 상상하기 어렵구나. 더구나 <2084년>이면 아직 네가 손자와 지내고 있을 무렵일텐데. 칩달고 태어난 손자를 볼 것 같은 생각이 드니? 우리가 칩을 몸에 심게 되는 그럴듯한 이유를 제시해야 할 것 같구나.

    답글삭제
  10. 2084년을 너무 멀리 생각한거 같아요 ^^;;;;;
    사실 저도 칩을 어떡게 심느냐에 고민을 했는데 마땅한 답을 찾지 못했어요 ㅜㅜ 근데 '멋진신세계'에서 약간 모티브를 빌리자면, (ㅋㅋㅋ) 태어날때부터 국가에서 그렇게 관리한다고, 태어난 아기들에게 심는거죠, ㅋㅋㅋㅋ
    너무........ 뭐랄까... 억지인가요?;; 더 생각해 보겠습니다 ^^;;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