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8일 월요일

2084년의 감시사회

2084년의 오세아니아 사회는 모든 계층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것이다. 절대권력 계층은 자신들의 의지대로 움직이지 않아 ‘예외’의 상황을 만들만한 일말의 가능성까지 없애고 싶어 하는데 고도로 발달한 정보사회에서는 그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국민의 치안을 명목으로 모든 장소의 감시망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개인은 그 어디에서도 감시망에 대한 의식 없이 행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핸드폰은 감시 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일정나이가 되면 당에서는 감시기능을 탑재한 핸드폰을 무상 지급하고 모든 장소에서 24시간 강제소지 할 것을 법으로 정하는데 이는 국민을 위한 것처럼 선전하지만 사실 개인에 대한 완전한 지배를 위한 것이다. 핸드폰은 한명의 사상경찰을 국민 개개인에게 붙힌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당이 국민들을 완전히 통제할 수 없는 단 한 가지 영역은 여전히 생각이다. 하지만 당은 이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태어날 때부터 감시시스템에 익숙해진 터라 당에 반동적인 말이나 행동을 일삼는 사람은 갈수록 줄어들게 되어 거의 모든 사람들의 생각이 당의 목적대로 획일화됐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사고방식은 점점 무미건조함을 넘어서 기계와 다름없는 반사적이고 수동적인 상태가 되어간다.
하지만 스미스처럼 과거에 대한 희미한 기억을 가지고 있고 당에 반동적인 생각을 가진 인물들이 자신들 내면의 생각을 당에 들키지 않고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강구해 내려한다. -서유진-

댓글 7개:

  1.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역시 압축 전송관!

    답글삭제
  2. 텔레스크린에 이어 핸드폰 감시의 시대가 도래하는군요^^;;

    답글삭제
  3. 생각에 대해 여지를 남겨두신 것이
    생각에 대한 감시가 가능할 것이라는 의견과 대조됩니다.

    저 역시 생각에 대한 직접적인 감시보다는 말씀하신대로 핸드폰 등의 도구를 통한 개인의 사고에 대한 간접적인 감시를 생각했습니다.

    답글삭제
  4. 휴대폰의 기능이 '2084'에는 극대화가 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1984에서조차 시도하기 힘들었던 흔히 같은 생각

    을 가진사람들의'모임'이 2084에서 완벽히 불가능 해질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5. 핸드폰을 통한 감시망~ 저와 같은 생각이시네요 ㅎ 반갑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과거는 쉽게지워지지않기에 언제나 반동세력이 존재하고 그들만의 사투가 기대됩니다.

    답글삭제
  6.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생각하니
    흥미롭네요

    어떤것이 있을지 상상해보니 참 다양할수있겠단
    생각이 드네요 .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
  7. 유진아, 70년후의 휴대폰은 어떤 모습일까? 요즈음과 비슷한 기능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가 추가되는 정도일까? 유선 전화 100년만에 무선 전화로 진화했는데, 현재의 무선은 3.5G인데, 그 때쯤은 7G쯤 될까? 7세대 혹은 8세대 휴대폰은 어떤 모습일까? 여전히 들고나 다닐까? 아니면 몸에 착용하거나 이식할까? 뉴런폰(신경전화) 같은 것이 출현하지 않을까? 사람들은 왜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할까? 어떤 조건이 출현해서 인간이 그런 식물적 상태의 삶을 살아가게 되는걸까? 그런 부분을 보완한다면 좀 더 그럴듯한 구상이 되겠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