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4년>에서의 국제적 상황은...
인터넷의 인프라가 전 세계적으로 발달한다. 그래서 '지구촌'의 개념이 보다 물리적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국제기구인 UN의 영향력이 관례가 아닌 일반적인 법의 강제성을 띄게 되고 UN은 세계의 정부 역할을 하는데
1. 인간의 존엄과 자유 존중
2. 다양성 인정
3. 질서유지를 위한 국제법 준수
를 UN 3대 가치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만큼은 UN의 영향력을 인정하지 않고 세계통합에 따르지 않은 채 2010년의 북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북한은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유일한 나라이지만 발전한 기술을 역이용하여 더욱 더 체제유지를 위해 힘쓰고 있다.
주인공들은...
윈스턴은 UN에서 북한 실상을 알리는 기자로 일을 하게 되는데 있는데 여기서 줄리아와 만나게 된다. 줄리아 역시 북한 출신이기에 둘은 서로에게 연민을 느끼며 사랑에 빠지는데 줄리아는 사실 북한의 간첩이다.
UN은 인간 존엄과 다양성 인정을 앞세워 윈스턴이나 줄리아같은 사람들을 포용하고 있지만 질서유지를 위한 법 준수를 앞세워 동시에 감시하고 있다.
오브라이언은 UN의 안보국에서 일하는데 줄리아의 간첩활동을 알아채고 주시하고 있다. 줄리아는 결국 체포되는데 윈스턴 역시 불려가 조사를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윈스턴은 세계연합의 모순에 대한 환멸을 느끼게 된다.
열심히 생각해서 다시 한 번 작성해 보았습니다.
답글삭제보시고 부족한 점이나 덧붙이고 싶은 점 등등 여러분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알려주시면 저의 생각을 넓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전쟁방지와 평화유지를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UN)이
답글삭제국제적기구 역할을 하고있는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영향력은 지금도 지배적이죠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강제적이라는 것은 영향력의 관례에서 일반적 법의 강제성으로 바뀌었다고 하였는데 북한이라는 나라를 제외한 모든나라가 그영향력에 들어간다는 상상은 조금 힘들지 않나싶네요. 북한이 아무리 단독체제로 들어가서 폐쇄적인 단일국가 체제를 유지한다해도 전세계를 상대로는 힘들거란 생각이 드는것이 제생각입니다. 지금도 경제적 고립화가 심화되어있어 우리나라와 비교하여도 낙후된 상태에서 미래까지도 유지되기는
더더욱더 힘들지않을까란 생각이드네요.
현재 세계의 상황을 이용하여 구성하신 점이 신선하네요.
답글삭제그리고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존중하는 UN이, 사실은 그 것을 지킨다는 미명아래 행하는 일은 감시하는 것...
자세히는 모르지만 현 상황을 보여주는 것같아 씁쓸하네요.
은란아, 세계연합의 모순이 무엇을 말하는지 잘 모르겠구나. 겉으로는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감시와 통제를 하는 것을 말하니? 각국이 UN에게 주권을 이양해야 세계국가가 탄생할 수 있는데, 그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뭐 좀 뚜렷한 이유가 있어야 할 것 같구나. 외계인의 공격이라든가 지구적 자연재해의 엄습이라든지 말이다.
답글삭제교수님, 코멘트 감사드립니다. ^^
답글삭제네, 저는 세계국가를 생각했습니다만 '지구촌'이라는 추세에 있으니 막연하게 그럴 것이다라고 설정했던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세계국가의 탄생을 야기한 장치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었어야 했을텐데요. 핵전쟁이나 외계인공격, 전지구적 자연재해 등등의 이유 말입니다.
그리고 세계연합의 모순은 이해하신 그대로 입니다.
간단하고 쉬운 설정들로 분명하게 이해되도록 했어야 했는데 생각보다 그게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코멘트를 주고 받는 과정 덕분에 제가 앞으로 더 나아질거라는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송준호, 문현덕/코멘트 감사합니다.
답글삭제자세한 설정들이 있지 않아서 두루뭉실하게 이해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주 분명하고 명료하게 설정한다는 게 생각보다 많이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ㅠ_ㅠ
세계국가라는 설정에 대한 부분은 교수님의 코멘트에서 지적받은바와 마찬가지로 이유가 좀 더 설득력있어야 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지적과 댓글 ㅋㅋㅋ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