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8일 월요일

치명적인 유비쿼터스시대가 도래한다.

1984에서 세계는 이중사고, 사상경찰, 기억 말살로 대변되는 정치적인 전체주의와 텔레스크린과 마이크로 대변되는 고도의 기술주의가 병존하는 사회였지만 2084년은 정보 통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한 치명적인 유비쿼터스 시대로 표현 하고 싶다. 겉으로는 정치적인 통제가 사라졌다고 한편으로 볼 수 있으나 이는 더욱 무서운 기술주의의 병폐로 나타나는데 국가가 각 개인을 감시하기도 하지만 기업이나 집단 그리고 생활 속 유비쿼터스화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환경의 편리함 속에서 인류는 24시간 감시당하는 생활 속 리틀 브라더들이 비약적으로 많아진 것이다. 1984에서 당은 20세기 중반 소위 사유 재산 폐지를 실시 극소수인 상층부 당원들의 부를 축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2084년에는 사유재산을 인정하면서 자본주의 적인 성격을 나타내지만 실제적으로는 사유재산을 축적한 지위 그리고 양의 따라 신분을 나누어 사유재산을 많이 소유한 사람일수록 더욱 세상으로부터 감시를 받는 사회가 온 것이다.

댓글 11개:

  1. 정보사회를 폐해로 인간에대한 감시가 더욱 심해질
    거라는 생각이 저랑 많이 비슷합니다.

    "리틀 브라더스"라는 생각이 너무 기발 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2. 저 역시 유비쿼터스를 생각했습니다.
    유비쿼터스는 라틴어로 '어디에나 존재한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유비쿼터스 시대가 오면 저는 그게 '숨어있는 빅 브라더'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해 봤거든요.

    저 역시 '리틀 브라더'의 개념은 참신하다고 생각합니다. ^^

    아, 그리고 <2084년>에서는 사유재산을 많이 소유한 사람이 감시를 받는다고 했는데...
    아.. 왜 받는거예요?

    답글삭제
  3. 제가 사유재산이 많이 쇼유한 사람들이 감시를 더받는다 라고 작성한 이유는 현재 사회에서도 물질적, 경제적으로 여유가있고 능력있는 사람들이 실제적으로는 시장경제를 이끌어 나가고 그들이 조정하는 세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2084년에는 이들을 정부에서 집중적으로 감시하여 물질적, 경제적으로 시장경제를 조작하고 관리하게 되어 정부가 원하는 시나리오 처럼 경제가 조작 관리 된다고 생각하여 사유재산을 많이 소유한 사람 일수록 더욱 감시를 철저하게 받게 된다고 작성했습니다.

    답글삭제
  4.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5. 생활이 편해졌지만 감시를 더 심해졌다는 관점에서

    써로게이트라는 영화가 생각이 나네요.

    답글삭제
  6. 써로게이트라는 영화 들어는 봤는데
    아직못봤네요 참고하겠습니다.!

    답글삭제
  7. 정치적인 통제가 사라졌다는 말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답글삭제
  8. 저역시 정치적인 통제가 사라졌다는 말이 이해가가지 않는데요.. 하지만 생활 속 리틀 브라더가 활성화 될 것이라는 생각이 기발하다고 느껴집니다.

    답글삭제
  9. 1984년에 존재한 이중사고,사상경찰,기억말살로 대변되는 정치적인 전체주의가 사라진 2084년이기에 정치적인 전체주의가 겉으로는 사라졌다고 작성했습니다.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답글삭제
  10. 준호야, 치명적인 유비쿼터스 시대라는 표현이 cool하구나. 네가 광고 카피에 재능이 있는거니? 그런데 부자들이 더욱 심각한 국가적 감시 대상이라는 상상은 마치 물리학에서 중력의 법칙을 거슬리는 것 같은 발상처럼 보인다. 그것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돈과 표라는 두 가지 세력의 경쟁에서 표가 승리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현실정치에서는 돈이 승리하고 국가권력은 돈의 힘 앞에 무기력하다. 그런데 네가 그린 미래사회에서는 경제적 권력이 소수에 집중되고, 정치적 권력은 대중의 손에 있는 모습이구나. 그것은 정치권력이 지배력을 잃어야 가능할텐데, 지배력 없는 국가기구가 소수의 부자를 감시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을까? 앞으로도 참신한 포스트를 기대한다.

    답글삭제
  11. 생각해보니 정말 현실에서는 정말 이루어지기 힘든 원리라는 생각이드네요. 제 단순한생각으로 사회구조가 좀더 억압된 미래를 그리려 했는데 현실과는 많이 동떨어졌던것 같습니다
    조금 더 생각하고 미래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듭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