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의 사회적 영향(1)

인터넷을 통한 집단지성의 발달로 지식이라는 단어가 무색해진 것 같다.
지식을 얻을 때, 수많은 노력과 열정과 땀을 흘려야만 진정 더 머리속에 남는 것인데
요즘 세상에선 인터넷에 검색하나만 하면 나오기 때문에 지식이라는 말 자체가 무의미해진 것 같다. 지식의 생산은 정말 어려운 것인데 유통,소비는 지식의 생산의 어려움에 비해 너무 쉽게 되어지고 있는 것 같다. 인터넷을 할 줄 모르면 지식의 빈부격차가 난다는 말이 실감이 된다.

댓글 4개:

  1. 지식생산이 수월해지고 동시에 지식격차가 존재할 수 있음을 지적한 점이 돋보인다.

    답글삭제
  2. 환구는 지식과 인터넷 두가지 키워드에 초점을 맞추었네.

    답글삭제
  3.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4. 정말 새로운 방향으로 접근을 했군요. 정말 참신 합니다. 하지만 지식의 생산,유통,소비가 쉬워진 것이 오히려 지식격차를 좁힌것이 아닐까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