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지성의 발달은 보다 정확하고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면서 잘못된 정보를 고치고, 단편적으로 알고 있던 지식이 모여 방대한 지식이 되기 때문이다. 단편적 지식이 모여 새로운 지식이 생산되고 그것은 인터넷 매체를 통해 유통된다. 이러한 유통과정은 집단지성이 발달할수록 더욱 잦아질 것이고 그 파급효과는 더 커질 것이라 생각한다. 소비과정은 지금도 모든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 '아고라'같은 공론장에서 토론할 때에나 개인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지식은 새로 만들어지고 다른 사람이 퍼감으로서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행위는 개개인을 넘어서 이제는 한 사회 (기업이나 정부)도 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간명하지만 핵심을 꼭 찔렀다.
답글삭제이제는 한 사회 (기업이나 정부)도 하게 될 것이라고 보는 이유를 첨가해 주엇다면 더 좋았을 텐데...
답글삭제다음 '아고라'의 적극적인 활용이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죠... 지식유통의 종착점 이라고 할 수 있을까?
답글삭제집단지성의 영향으로 기존 지식이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본것 같은데 공감합니다. 그런데 지금도 지식의 소비는 개인의 범위를 넘어서 하고 있지 않은가 십네요. 그리고 문맥이 잘 안맞아요.. 글읽기가 어지럽네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