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정의, 지식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가?
이러한 상황에서 지식의 정의는 '사람들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하나의 글을 가지고도 어떤 사람들은 필요하고, 어떤 사람들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겠지만, 사람들에게 필요하고 가치가 있는 글들이 바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집단지성의 발달이 온 상황에서 지식의 정의라고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의 지식의 생산 과정에서는 이전과는 달리 계급의 차별없이 참여 할 수 있다는 것이 변화라고 할 수 있는데, 예전에는 지식을 생산할때는 전문가나 고도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 등 한정되어 있었지만, 현재에는 그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들이면 누구나 지식을 생산 할 수 있다.
지식의 유통 과정에서는 예전에는 한 사람이 지식을 만들어 내면 그대로 보존이 되었다면, 인터넷이 기반한 집단지성의 사회에서는 지식을 중간에 변화 시킬 수도 있고 그 지식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다. 그러면서 글쓴이와 생각을 공유할 수도 있고 중간에 그 지식이 잘 못된 점이 있다면 고칠 수도 있다.
지식의 소비 과정에서는 이전에는 돈을 내고 지식이 들어있는 책을 사거나, 지식이 들어있는 파일을 사거나 하는 일이 많았는데, 인터넷을 기반한 집단지성의 사회에서는 지식들을 인터넷을 통해서 무료로 보는 일이 생겨났다. 이러한 점에서 집단지성은 자본으로 인한 지식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지식은 "사람들에게 필요하고 가치있는 글"이라는 주장도 좋고, 집단지성이 지식격차를 줄이는데 기여한다는 주장도 좋다.
답글삭제인터넷의 상황을 예로 두엇기에 글쓰기에 수월해 진다.
답글삭제정말 각각의 포인트를 잘 짚으면서도 자기 생각을 깔끔하게 펼쳐나가는 글입니다. 정말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