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의 사회적영향(1)

집단지성 을 기반으로한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정의 지식의 생산/유통/소비과정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가?

기존사회에서는 생산과정에 참여하는 층을 생각해보자 ? 그말을 우리는 흔히 '지식인'이라 일컫는다. 하지만 지식인이 현대사회에서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예로 네이버 지식인을 보자 그속에서 질문을 하는자는 정말로 ~분야의 전문가의 답변을 원하는 것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질문자는 전문가적인 식견은 원하더라도 '전문가'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말그대로 우리모두가 지식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호칭으로 분류되는 어느분야 전문가가 아니라 하더라고 우리는
전문가적인식견과 그에따른 아마추어 적인 활동력과 열정 이것은 일종의 전문가들만 가지고있는 특권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들 집단중에서도 우수한 이들은 프로엠 PRO-AM이라는 용어로 설명할 수 있을것이다. 바로 프로와 아마추어의 결합이다. 지식인이라는 익숙한 용어로 따지자면 신지식인이라 할 수 있을것이다. 이로인해 우리는 소비과정에서 가지고 있던 위치만이 아닌 생산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을 가지며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지식을 유통시킨다. 이에따라 소비자층은 더이상 기존사회에서 처럼 소비자가 아니다. 고로 생산자와 소비자는 더이상 일방향이아닌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 혹은 지식을 위한 생산자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댓글 5개:

  1. 질문자는 전문가적인 식견은 원하더라도 '전문가'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 정말 공감 가는 말입니다. 우리 스스로가 어느덧 지식 생산자의 범위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답글삭제
  2. 생산 과정을 생산 주체를 통해서 설명함.

    답글삭제
  3. 준호가 이젠 전문가적 commentator가 되어가는구나. 잘 썼다.

    답글삭제
  4. 지식 생산과 소비의 영역이 교차하는 것 같아!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