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정의, 지식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가?
기존의 지식이 특정한 사람들, 공인된 사람들이 인정해야만 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져 왔다면 집단지성의 발달을 이러한 지식의 정의를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위키피디아가 그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위키피디아는 집단지성의 한 형태로 해당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일반인이라도 누구나 자신의 지성을 참여시켜 지식을 함께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식에 대한 정의의 변화는 생산/유통/소비 과정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됐다. 물적 자본의 최소화를 통해서 수많은 사람에게 지식을 생산해내서 유통, 소비 시킬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트위터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마음만 먹으면 인터넷을 통해 개인이 지식의 생산/유통/소비 이 세가지를 한번에 할 수 있게 됐다.
누구나 가치있는 지식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는 지적은 옳지만 트위터 자체가 집단지성은 아니다.
답글삭제기존의 지식: 공인된 사람들의 인정
답글삭제인터넷 지식: 물적자본의 최소화
전체적인 글이 쉽게 들어오지 않네요.
답글삭제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정의를 변화시켰고 그에 영향으로 지식의 상산/유통/소비를 한번에 하는 방법인 트위터등이 생겨났다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