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정의, 지식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가?
집단지성의 발달에 따라서 지식의 생산은 더욱 활발하게 되고 있다. 인터넷이라는 넓은 공간에서 생산되는 지식들은 만약에 인터넷이 없었다면 생산, 유통 혹은 소비 과정은 매우 좁았을 것이다.
인터넷이 있기 때문에 다른나라의 자세한 상황을 더욱 쉽게 볼 수 있고, 거기에 대해 얘기를 하다보면 집단지성에서 더욱 발전된 새로운 모습이 보일 것이다. 사람들은 이런 다른 나라의 일을 보면서 지식을 넓혀나갈 수 있는 길이 생긴다. 또한 어떠한 정보가 유용해서 자신에게 도움이 될 것 같은 정보는 아낌없이 투자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정의를 확 바꿔놨다. 인터넷이 발달되기 전의 '지식'은 숨겨진 금광이고 인터넷이 발달 된 후 '지식'은 단지 지식뿐만 아닌 '지식'+'정보'라는 더욱 넓고 큰 금광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말그대로 사회의 구체적인 현상이네...이래서 제목이 중요한 모양이다...
답글삭제나는 단어 하나하나의 특성과 정의에 대해서만 썻는데...
숨겨진 금광에서 더 넓고 큰 금광이 되었다는 은유가 재미있다. 그런데 지식이 많아지면 지식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을까? 금이었던 것이 철로 바뀌지 않을까?
답글삭제지식의 생산은 더욱 활발하게 되고 있다..라는 말을 통해 선빵을 치고, 인터넷이라는 화두를 꺼내서 이야기를 만들었네요. 글 쓰는 법을 한수더 배우고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집단지성의 영향이 단순히 지식-->지식+정보 일까요??
답글삭제저는 지식 이라는 형태 자체를 바꾼거 같은데...
어쨋든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