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의 사회적영향(2)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계층질서에 어떤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기본적으로 집단지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보가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어야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지식들이 전문가나 지식인 혹은 정부나 정보에 쉽게 접근할수 있는 사람들에게만 제공되고 창출되었다면, 집단지성의 발달이 된 사회계층은 누구나 쉽게 그 정보에 접근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 낼 수 있게 될 것이다.
기존에는 기업이나 정부만이 정보를 알고 있고 기업이나 정부만이 해결책을 정했다면
집단지성이 발달된 사회계층속에서는 정보가 누구에게나 공유되고 해결책도 다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들어 기사의 경우 예전에는 기자집단만이 기사를 써내고 기사를 쓸 수 있는 정보를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집단지성이 발달하고 있는 요즘은 누구나 기사를 써낼 수 있고 기사를 쓸 수 있는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댓글 3개:

  1. 약간 독특한 구조로 파해쳤군요 집단지성이 발달했기 때문에 어떤일이 일어난다가 아닌 집단지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정보가 개방되어 있어야하고 그렇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라는 잘 읽엇습니다.

    답글삭제
  2. 사회계층화라는 쟁점에 더욱 집중해서 논의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