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의 사회적 영향 (2)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 계층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불과 10년,20년 전만 하더라도 지식은 상류층들이 주로 소유하고 하류층의 사람들은 지식을 접해볼 기회가 거의 없었고 사회가 발전해도 여전히 지식의 질적인 차이에서는 계층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사람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에 대해 글을 쓰고 다른사람들과 그 지식에 대해 토론도 하고 지식을 공유도 하면서 점점 계층간 지식의 양적인 차이는 물론이고 질적인 차이도 줄어드는 것 같다. 이렇게 집단지성이 더욱더 발달한다면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 계층 질서는 점차 무너지지 않을까 싶다.

댓글 3개:

  1. 맞습니다. 당장은 아니어도 앞으로 천천히 지식소유로 인한 사회계층 질서는 없어질 것입니다. 물로 소유를 안해서 지식의 격차가 생길수는있다.

    답글삭제
  2. 참 편안하게 읽히는 글이구나. 잘 썼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