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의 사회적 영향(2)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계층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집단지성의 사회적 영향(1)글에서 언급하였듯이 과거의 지식과 달리 오늘날과 앞으로의 지식은 공유를 기반으로 두고있다. 다시말해 앞으로는 공유를 통해 사회계층질서가 많이 변화 할것이다. 과거에는 지식을 많이 가진자와 그렇지 않은자로 지식계층이 나누어 졌지만 앞으로는 점점 그럴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가지 예로 영국의 14살짜리 여자 아이는 패션계에서 이미 높은 위치에 서있다.(과거로 말하자면 지식을 많이 가진자의 위치)이 여자 아이는 마크제이콥스의 찬사를 받고 그의 패션쇼에 초청되어 지기 까지 했다. 이 여자 아이는 패션 에디터나 디자이너가 아닌 단순한 파워 블로거 이다. 그 아이는 자신이 코디한 옷을 단순히 사진으로 블로그에 올렸을 뿐이다. 이러한 단순한 공유(블로그)를 통해 그 아이는 높은 위치에 오를수 있었다. 과연 과거에도 이런일이 가능 했을까?
위의 예에서 보면 14살짜리가 가지고 있을수 있는 과거의 지식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집단지성과 인터넷의 영향으로 14살짜리도 오늘날의 지식을 많이 소유할수 있게 해준다.

댓글 2개:

  1. 이번 글, 참 좋았다. 그런데 마지막 문장에서 '...지식을 많이 소유할 수 있게..."부분이 더소 거슬리는 구나. 소유라는 표현의 어감이 좀 강하다. 활용이라는 표현을 대신 쓰면 전체적인 톤에 잘 어울릴 것 같다.

    답글삭제
  2. 이분은 또 (1)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매력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