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의 사회적 영향 (2)

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계층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집단지성이 발달하게 되면 비교적 지식을 많이 알고 있는 intellectuas와 대중과의 차이가 줄어들면서 이전에 intellectuas가 가지고 있었던 지식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많이 공개가 되게 되고 대중들은 그러한 지식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더 이상 intellectuas와 대중은 수직적 관계보다는 수평적 관계에서 자신의 의견을 얘기하고 토론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국가 기관과 시민들의 격차도 줄어들 것 같다. 왜냐하면 국가 기관에서 숨기고 감추려고 했던 사실들이 현재에는 실시간으로 인터넷에 공개 되기 때문에 국가기관은 더이상 자신들이 알고 있었던 사실들을 감추기에는 어려울 것 같다. 만약, 국가기관에서 이러한 변화들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사실을 숨기고 감추려고 한다면 국가기관과 시민들 사이의 불신이 생길 것 같다. 예를들어 이번 천안함사태에서 국가기관이 숨기려고 했었던 사실들이 있었지만, 그 곳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증언이 인터넷에 올라오게 되면서 국가기관은 그 사실들을 더이상 숨기지 못하였다. 또한 이런 것들이 밝혀지면서 일반시민들은 가에 대한 불신이 생겨나게 되었다.

댓글 2개:

  1. 잘 읽었습니다. 현실 사례를 들면서 분석적으로 파고 들었군요 . 감추고 싶어도 감출수 없어지는 현실이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줄여주겠죠.

    답글삭제
  2. 국가기관과 시민 사이의 정보격차가 집단지성을 통해 줄어들고, 거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국가기관은 시민들이 불신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에 공감한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