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지성의 발달은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계층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현대사회에서는 더 많은 지식을 소유한 사람이 사회적으로 더 높은 위치를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지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굳이 집단지성이 아니더라도, 일반적으로 보자면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에서 더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주로 교사이다. 이유는 학생보다 교사가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집단지성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계층질서를 다소 변하게 할 것이다. 집단지성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들은 굳이 어떤 공식적 학습을 받지 않더라도, 특정 분야에서 자신의 흥미와 그에 관련한 능력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거나 기존지식의 발전을 위해 참여가 가능해졌다. 자격제한을 두어 차별하는 것이 아닌, 모든 이들에게 참여와 가능성이라는 문을 열어준 집단지성은 그만큼 폭넓은 분야에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기존에 어떤 계층에 존재했었든 간에 상관없이 오로지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활동과 그로인한 집단의 결과물로서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계층간의 이동이 활발해졌다고 볼 수 있다.
과거와 집단지성으로 인하여 변화한 오늘날을 잘 비교 한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지식의 중요성을 잘 설명하신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계층간의 이동이 활발해진다는 주장이 인상적이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