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이란

집단지성이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서로 쌍방향적인 소통이 가능해짐에 따라 서로의 지식이 공유되고 그 지식속에 새로운 지식이 생겨나면서 사용자간의 정보활용과 이용 폭 그리고 정보습득 과정이 발전한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집단지성의 대표적인 예는 위키피디아와 구글에서 나타난다. 과거 한 사람의 지식이 널리 퍼지던 방식에서 이제는 집단지성의 힘으로 여러 사람의 지식이 모여서 더 발전된 지식이 퍼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식격차가 집단지성을 참여하면서 그 격차가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집단지성은 앞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인터넷이 발달할 수록 집단지성도 함께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넷의 발달은 정보검색에 편리함을 가져다주고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게되기 때문이다. 정확한 정보를 얻게되다는 것은 정확한 지식을 얻게 되다는 것이고 이것은 집단지성의 힘이 더 강해질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 11개:

  1. 집단지성 자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썼으면 더 좋았을 뻔 했구나. 수고했다.

    답글삭제
  2. 집단지성이 인터넷의 발달로 부터 생겨난 것이라는 사고방식이 놀랍다.

    답글삭제
  3. 인터넷이더욱발전할수록 그렇담 집단지성또한 날로 발전할거라는 전제 현재까지 집단지성의 경로로 보았을때 좋은생각이라 생각됩니다. 또 지식격차가 집단지성을 형성하면서 줄어들수 있다는 생각또한 좋은 전제라 생각합니다.

    답글삭제
  4. 저도 교수님의 의견처럼 집단지성 자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집단지성의 미래까지 분석해주신점 이 참 좋았습니다.

    답글삭제
  5. 그리고 "인터넷이 발달할 수록 집단지성도 함께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는 구절에서 인터넷의 발달은 사용자 수의 증가를 말하는 건가? 아니면 소프트웨어의 발달인가?

    인터넷의 발달이 과연 정보검색과 정보의 정확성만으로 설명될 수 있을까?그렇지만 무엇보다도 김성진 학우가 인터넷의 중요성을 인지했다는 것이 정말 좋은 점인 것 같다.

    답글삭제
  6. 집단지성으로 인해 지식격차가 줄어들 것이라는 생각이 저랑 많이 비슷합니다~ 집단지성의 바탕인 인터넷의 발달 도 마찬가지로!!

    답글삭제
  7. 잘읽었습니다. 위키피디아를 생각하지 못한 제가 한심하군요.

    답글삭제
  8. 적절한 예시와, 집단지성이 활발해진 소셜네트워크의 모습에대해 알 수 있게 해주는 글이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과 집단지성이 매우 긴밀한 관계임을 느끼게 해주는 글이었습니다.

    답글삭제
  9. 이 글을 읽으면서 든 생각인데,
    집단지성에 참여하면서 지식격차가 줄어들 수 있다고 하셨는데, 저는 약간 더 설명을 들어야 잘 이해가 갈 것 같습니다.
    물론 글은 좋았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
  10. 인기야.......
    위키피디아를 생각하지 못한 제가 한심하군요ㅋㅋㅋ

    넌 참 이상한 포인트를 ㅋㅋㅋㅋㅋ

    답글삭제
  11. 집단지성의 힘이 더 강해 질 수 있다는 마지막 문장이 제일 와닿았네요~ 잘읽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