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오웰의 <1984년> - 감시,통제의 사회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 쾌락의 사회
조지 오웰, 올더스 헉슬리이 그들의 소설을 통해 지적한 것은 아주 흥미롭고 아주 의미있는 것들이라고 생각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감시, 통제의 사회
쾌락의 사회
이 두 가지를 통해서 '내가 나로 존재할 권리'를 박탈했다. 사회가 개인을 통제했다. 물론 소설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변수가 있었다. 세계적인 전쟁같은 것들 말이다. 어쨌거나 사회를 그렇게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굉장히 세밀하게 미래 사회를 예측했고 어떤 것들은 이렇게 저렇게 다양한 모습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보여지기도 한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아마도 '내가 나로 존재할 권리'를 박탈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웹이 집단지성을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소셜미디어를 도구로 개개인이 자신의 생각을 수도 없이 공유한다. 사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인터넷은 개인을 개인으로만 머무르게 했다. 사회적으로 고립시켰고 인터넷이라는 가상 공간의 폐단, 익명성의 문제 등등이 사회적으로 뜨거운 이슈였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물리적으로는 뿔뿔이 흩어져 있더라도 오히려 웹 상에서 집단지성을 발현하는 이상한 현상이 점점 눈에 보이고 있다. 이제는 가상 공간에 홀로 지내는 것보다 가상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더 큰 이슈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소셜 미디어가 집단지성을 통해 개인이 개인으로 존재하면서도 집단적으로 큰 힘을 가질 수 있게 했다.
어느날 군사쿠데타가 일어나 인터넷을 못쓰게 하면 어쩌지? 지금 태국정부가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을 금지했더구나. 우리에게도 그런 일이 일어나지 말란 법은 없겠지.
답글삭제정말요? 교수님, 어떻게 그런 일이 생길 수 있지요?
답글삭제태국 국민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찾아봐야겠습니다.
우리에게라고 그런 일이 일어나지 말란 법은 없지요. 만약 그런 일이 생긴다면 절대로 가만히 있지 않을 거예요! 그리고 그런 일이 생겨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의 시국이 어쩐지... 불안하기도하네요. 소시민이 되지 않도록 언제나 의식이 깨어있어야겠습니다!!
할말 다하고 살 수 있는 우리나라가 좋습니다.
답글삭제인터넷도 자유롭게,, 자기의견도 자유롭게!!
흠... 집단지성의 강화만으로 권위가 무너질 것이라는 판단은 섯부른 판단 인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집단이 과연 우리와 같이 선한 집단만이 큰 영향력을 행사할 까요?
@김진희
답글삭제아무래도 소수의 악의 무리?가 ㅋㅋㅋ 판을 치는 것이 어렵게 되기는 하지 않을까요?
우리나라도 딱히 할말 다하고 살 수 있는 나라는 아닌듯... 한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가 정보 통제와 그런 자유같은면에서 엄청 하위권이라고 조사 되었었던...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