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이란?

집단지성은 한 집단 내에서 어떠한 논제에 대하여 협업하고 경쟁을 하여 한 결론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집단지성이란 말을 배우게 된 후, 가장 먼저 느낀 집단지성의 사례는 다음 아고라였는데,
아고라에서 유저들의 토론을 통하여 어떤 집단지성의 사례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다음 아고라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강조하기에 주력하였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모습은 많이 보여주지 못했다. 물론 하나의 토론으로만 그것을 확신할 순 없지만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단 한개의 토론만이 협업의 사례가 보이지 않았다고 생각하진 않았다.
또 Worle Of Warcraft(이하 WOW)라는 게임을 통해 더욱 더 심층적으로 집단지성에 대해 느껴보았는데, 내가 WOW라는 게임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려웠으나 플레이포럼이라는 WOW커뮤니티를 통해 느껴 볼 수 있었다. 그곳에선 어느정도의 협업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서로가 자신이 알고 있는 TIP들을 공유하면서 지성을 한층 더 쌓아가고 이 사례에서 집단지성이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내가 생각하는 집단지성은 집단지성의 정의 그대로 서로 협력하여 지식을 만들어 내는 것을 통해 집단지성이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댓글 6개:

  1. 환구야, 협업이 있으면 높은 수준의 집단지성을 이룰 수 있겠지만, 집단지성에 협업이 꼭 필수사항은 아니다. 구글검색, 유튜브 등은 의도적인 협업은 없어도 집단지성의 범주에 넣을 수 있지 않니?

    답글삭제
  2. 집단 지성에서도 경쟁이 발생하는가?? 에대해서 생각해 보게 해주는 글이었습니다. 읽으면서 생각해 보았지만 아직 답을 못 찾고 있네요.. 어쨋든 집단지성의 정의에 경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신점이 정말 참신 했습니다.

    답글삭제
  3. 아.환구's 줄글. 그래도 뒷부분 wow사례는 정말 좋은 것 같다. 나도한번 이렇게 써보도록 생각해 봐야지.

    답글삭제
  4. 구현이의 댓글도 귀엽네요 ㅋㅋㅋ


    꼭 협업하고 경쟁하여 만들어낸 결론만이 집단지성은 아닌 것 같습니다.
    홍유경 학우였던가요? 집단지성은 자연스러운 결과물이라고 지적했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어요!^^^^^

    답글삭제
  5. 와우의 집단지성은 플포에서도 볼수있지만 게임 그자체내에서 더 많이 이루어집니다. 저만 와우를 하니 원 ㅋㅋㅋ답답하지만 저희 발표와 환구의 사례를 보니 고마워 ㅋㅋ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