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미래

집단지성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미래

조지오웰의 '1984년'은 개개인의 힘을 너무 무시하였다. 인터넷의 힘을 정부가 통제하지 못할 것이며 사람들 사이에 서로 하는 지성의 힘을 너무나도 무시하였다. 사람들은 태어날 때에부터 알고싶어하는 욕구가 있기때문에 책에서 나온 내용처럼 동물처럼 행동하진 않을 것이다. 지식을 더 알고 싶어하는 자신의 글을 쓰고싶어하는 주인공처럼 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행할것 이고 인터넷과 같은 하나의 소통의 창구속에서 사람들은 지식을 얻게되고 억압적인 정부는 무너질 것이다.

'멋진신세계'에서도마찬가지로 사람들사이의 정보공유와 지단지성의 힘을 간과하고 있다. 위의 1984년과 마찬가지로 사람을 그저 하나의 동물로서(여기서는 쾌락만 추구하는 사람) 여기고 있다. 사람들은 각자의 블로그나 인터넷과 같은 매체를 통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것이며 이것은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에 막을 수 없다. 쾌락 후에 남는 허탈감과 씁쓸함은 이 힘을 더욱 더 크게 할 것이다.

미래사회의 모습은 정보공유와 집단지성의 힘이 우리도 알 수 없게 꼭 숨쉬는 공기처럼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이루어 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지식은 매일매일 매 순간 나타날 것이며 이것은 미래사회의 발전에 큰 이바지를 할 것이라고 본다. 정부의 탄압이나 규제 그리고 비민주적인 통치는 바로바로 시민들이 알 수 있게될 것이다. 정보는 공산화될 것이고 무한히 증가할 것이다. 사회는 민주적이고 사회 속 정보는 넘쳐날 것이다.

댓글 5개:

  1. 다른 부분은 이해가 되는데, "정보는 공산화될 것이고..."라는 부분은 잘 이해가 안가는구나. 집단지성이 공산화된 모습은 아닐텐데.

    답글삭제
  2. 옛날에는 우매한 대중이라는 말이 있었지. 군중이 군중심리로 끝날 수 밖에 없다고. 하지만 이제는 웹 기반으로 집단지성이 큰 힘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 잘 읽었어!^^^

    답글삭제
  3. 마지막 부분이 정말 거창하다... 성진이한테 이런 개성이 있는 줄 몰랐어.

    답글삭제
  4. 교수님//공산화라는 너무 극단적인 말을 썻네요. 저는 정보가 공유되고 모든 사람들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강렬하게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답글삭제
  5. 글자체가 논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인 면이 있는것 같습니다. 논리라기 보다는 단순한 희망적인 글이 아닐까하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