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개인의 생각이 모여서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 내는것. '함께'라는 것이 중요하다. 각자 생각해서 제일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것도 있지만, 한사람의 생각이 새로 편집되고 각색되어 더 나은 결과를 내기도 한다. 기존의 지식을 받아들이고 창조하는 과정. 공유하고 창조한다. 정보를 창출해내기도하고 스스로 그 정보가 되기도 한다. 전문가적인 개인보다 집단의 지성이 우세하다. 예전부터 집단지성은 있었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그 과정이 쉬워졌다.
글의 첫부분이 마음에 들었는데, 후반부가 좀 딱딱해 졌어요. 힘네세요.^^ 너무 딱딱하게 쓸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집단지성을 설명할 때는 집단지성의 여러가지 특성/관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민혁님의 질문에 대해서는 고민할 것 없이, 전자가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없이는 참여와 협업이 불가능하다면 과연 소셜미디어가 등장했을까요? 소셜미디어는 인간이 만들어낸 하나의 도구로, 인간의 필요에따라 만들어진 존재 아닐까요?
사례를 덧붙였으면 훨씬 좋았을텐데....
답글삭제집단지성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인터넷을 통해 그 과정이 쉬워진 것이다. vs 집단지성은 인터넷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과연 어떤것이 정답일까요?
답글삭제글의 첫부분이 마음에 들었는데, 후반부가 좀 딱딱해 졌어요. 힘네세요.^^ 너무 딱딱하게 쓸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집단지성을 설명할 때는 집단지성의 여러가지 특성/관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그리고 민혁님의 질문에 대해서는 고민할 것 없이, 전자가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없이는 참여와 협업이 불가능하다면 과연 소셜미디어가 등장했을까요? 소셜미디어는 인간이 만들어낸 하나의 도구로, 인간의 필요에따라 만들어진 존재 아닐까요?
@안민혁
답글삭제집단지성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인터넷을 통해 업그레이드 되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쉬워지기도 했잖아요?
그 수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이 없었다면
어떻게 한 공간에 모일 수 있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