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이란?

집단지성이란, 한 주제에 대해서 여러사람이 독립적으로 스스로 생각하거나 서로 영향을 받으면서 스스로 생각할 때 생기는 특성으로, 한사람 혹은 일부사람의 생각에 빠져들어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사람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받고 다양한 생각이 표출되거나 각자의 생각이 한곳에 모여서 혼자의 생각이상으로 더 많은 생각이 나타나는 것이다.

댓글 10개:

  1. 진희야, 잘 정리했다. 그런데, 사례도 들면서 좀 부드럽게 설명했으면 훨씬 좋았겠구나.

    답글삭제
  2. 왜 정보사회학과 학우들은 다 줄글을 쓰는가!

    답글삭제
  3. 사람들은 사례드는 능력이 정말 뛰어난 것 같다... 혹시 내가 잘못 쓴 것은 아닐까? 아니겠지ㅋㅋ

    답글삭제
  4.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5. 집단지서은 단순한 특성일까? 전는 집단지성을 좀더 구체적인 형태를 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 그리고 진희야 너는 정말 자기 주관이 뚜렷한거 같아 너의 댓글을 보면 교수님의 생각에 굽히지 않는 신념이 보인다. 그래서 보기 좋아.^^

    답글삭제
  6. 물론 불필요한 사례는 글을 늘어지게 하고 집중을 흐리게하겠지만 주제와 상응하는 핵심적인 사례들은 정리글에 있어 필요한 핵심이라생각됩니다.. 그리고 이번에 저희가 작성한글들은 요약하시오가 아닌 짧은시간이지만 생각을 정리해보라는 기회였기때문에 더욱 사례들이 적용된다는 생각이듭니다.

    답글삭제
  7. 안민혁 학우님과 같은 덧글 정말 환영한다.!

    그리고 준호형이 잘 설명하신 것 같다.

    답글삭제
  8. 사람마다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방법이 다 다르다고 생각이 듭니다. 예를 들어가며 비유하기를 좋아하는 사람과, 정곡을 찌르고 핵심만을 요약하는 사람!

    누가 옳다고 표현 할 수 없다.

    글에 어떠한 생각을 표현 했는냐를 보는 것이지, 글을 쓰는 요령가지고 딴지를 걸지 않았으면 좋겟다!!!

    답글삭제
  9. 진희야. 이 사회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이기 때문에 성급하게 모두를 싸잡아서 "누구는 이렇다"라고 말하는 것은 그 말의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사람들을 당황하게 한다고 생각해!
    너는 정말 좋은 생각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 같아! 어떻게보면 교수님을 어려워할 수도 있는데 용기를 내서 이것 저것 따지고 묻는 것을 보면 부럽기도 하고 수업 시간에 즐거움을 줘서 한 학기가 유쾌했단다.

    이 사람은 이렇게 생각하고 이렇게 표현하는구나.

    그렇게 가볍게 받아들이고 소화시킬 수 없을까?^^^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