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3일 목요일

집단지성의 사회적 영향 (2)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를 기반으로 형성된 사회계층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과거에는 정보를 많이 가진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간 관계에서 실제로 많은 형식이 필요했고 또 그 형식에 얽매여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심적 거리감이 멀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직접 대면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과거 비대칭적 소유의 격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근본적으로 정보를 많이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격차를 완전히 해소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어떤 정보를 가지려 하는 의지가 있음에도 그 정보에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과 고객간의 관계에 있어 이러한 정보의 개방성이 얼마나 높은가는 그 조직이 얼마나 하향적인가 하는 중요한 척도로써도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점점 이러한 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어쩌면 우리들의 중요한 의무중 하나일 것이다.

댓글 5개:

  1. 심적 거리감까지도 지적하였네요. 오랜만에 지식을 얻어가며 행복을 느끼네요.

    답글삭제
  2. 지식인들의 역할까지도... 격차 해소를 위해 개인이 노력하기 보다 집단지성을 통한 방법이 그 격차를 쉽게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이 아닐까..요??

    답글삭제
  3. 저도 짧은 기간 내에 지식의 비대칭적 소유 문제가 해결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업들도 자기들 스스로가 정보를 개방하지 않으면 손해를 보는 날이 올 것이라 생각 됩니다.

    답글삭제
  4. 아 그리고 저도 심적 거리감의 대한 지적은 정말 좋다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
  5. 주희가 쓴 글에 팬들이 적지 않네.^^ 이번 글은 좀 논지가 약한 듯 싶은데.

    답글삭제